의견.png

스쿨버스

해시넷
qkfkrpf98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9월 17일 (금) 12:3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쿨버스(school bus)

스쿨버스(school bus) 또는 통학버스는 학생을 태우고 학교로 등하교를 돕는 버스로 주로 한국에서는 어린이집, 유치원, 사립 초등학교와 학원, 특수학교, 대학교에서 운영한다.

개요

스쿨버스는 자체적으로 버스를 구입해서 운영하기도하나 보통 관광버스 회사와 계약하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정 구간을 왕복하여 통학과 통근을 돕는 셔틀버스 축에 속한다. 미국에서부터 처음도입하여 그 뒤로 국내에서도 점차 보이기 시작하였다. 차량은 보통 노란색을 띈다. 보통 태우는 승객이 어리고 젊은층 이다보니 안전에 대한 편의장치와 단단한 차체를 가지고 있으며 안전을 위해 따로 규정이 정해져있다.

역사

20세기 초 당시 미국과 캐나다 등지의 농촌 지역에서는 통학이 어려운 학생을 위하여 벤치 타입 차량을 운영하였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키드 핵'(kid Hack)이라고 불려졌는데 '핵'(HacK)은 운송 목적의 마차 또는 택시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후 '말 없는 탈것'(Horseless Carriage)로 스쿨버스를 지칭하는 용어로 변경되었고 대표적인 차량으로는 1927년 생산된 블루버드 1호가 있었다. 이 차량은 포드 T모델 프레임위에 통학버스용 패널이 탑재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악천후를 피하기 위해 천막이 쓰이기도 했으나 블루버드 1호 이후 출시된 모델은 이를 반영하여 지붕이 설치되기도 하였으며 창문으로 비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커튼이 설치되었다. 1930년대 이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미국식 스쿨버스 디자인이 탄생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차량으로 크라운 코치사의 스쿨버스가 있다. 당시 이 스쿨버스는 최초로 철제 프레임이 적용되었고 유치창문이 설치되고 43인승에서 76인승 규모로 제작하여 학생들을 많이 태울 수 있도록 커지고 단단해졌다. 시간이 더 흘러서 미국의 베이비 붐 시대인 1960년대 이후 90인승 이상의 스쿨버스가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농어촌 지역 좁은 도로 운행을 위해 쉐보레 밴, GMC핸디 밴, 닷지 A100 등 소규모 스쿨버스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안전에 더욱 관심히 쏠리면서 안전장치가 버스에 대거 도입하였는데 대표적으로 학생들이 내릴 때 주변 운전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전조등이 설치되었고 일반 차량과 충돌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강철 패널을 추가하여 차량과의 충돌에서 최대한 손상이 가지 않도록 보강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연비 및 출력향상을 위하여 디젤엔진이 적용되었으며 2000년대로 들어서서 3점 안전벨트가 적용되었다.[1]

특징

  • 스탑사인: STOP 표지판의 경우 한국인에게는 낮설지만 워낙 미국도로에서 흔하다. STOP표지판이 도로뿐만아니라 차량에도 적용이되는데, 대표적으로 스쿨버스에서 운전자 바로 옆에 빨간 육각형의 STOP 표지판이 달려있다. 스쿨버스가 정차를 하고 학생이 승하차를 할 때는 버스에 달려있는 STOP 표지판이 펴져서 주변 차량에게 학생이 승하차 중이나는 것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뒤따라오는 차량은 학생의 안전을 위하여 스탑사인을 보고 정차해야한다. 미국에서는 스쿨버스를 뒤따라오는 차량이 언제 정차할지 모르는 상황이 오기때문에 스쿨버스 차윗편의 불빛을 깜빡거리며 정차를 미리 알린다. 이를 플래슁이라고 한다. 노란색 플래슁의 의미는 스쿨버스가 곧 정차함을 알려서 뒤차량이 천천히 정차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면서 붉은색 플래슁이 켜지면서 정차상태라는 것을 알리게 된다.[2] 국내에도 스탑사인을 의무화하게 되면서 자주 보이는 편이다.
  • 색상: 스쿨버스의 차량은 대다수가 노란색이다. 1939년 4월 콜롬비아 대학에서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는데, 학교 통학버스의 색상과 크기, 길이, 통로너비에 관한 기본 규칙이 표준화되었다. 이 때 페인트 전문가도 참석하여 다양한 교통사고를 분석하여 스쿨버스의 차량을 노란색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노란색은 같은 위치에서도 시각적으로 더 앞으로 나와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를 진출색이라 하는데 연구 자료에 따르면 빨간색 다음으로 더 눈에 잘띄는 진출색은 노란색이라고 한다. 하지만 빨간색은 어두운 곳에서는 짙은 빨강으로 보이기 때문에 통학버스의 색상으로 어울리지 않고, 상대적으로 잘보이는 노란색을 채택하게 되었다. 노란색은 어둡고 시야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다른 색보다는 멀리까지 잘보이고 운전자의 주의를 잘 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눈은 빨강색보다 노란색을 먼저 발견할 가능성이 1.2배 높다고 하였다. 도로에 보면 중앙선과, 경고 표지판과 같은 이유이다. 국내에도 2014년에 안전을 위하여 통학버스의 색을 노란색으로 통일화 하였지만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황색과 비슷한 색이면 통학버스로 승인 받을 수 있어 통학버스의 색이 제각각이다.[3]
  • 차체: 비교적 젊고 어린층인 승객이 탑승하기 때문에 전복과 충돌에 대비하여 더욱 단단한 차체를 쓴다. 미국은 강철소재의 차를 사용하는데, 이는 장갑차와 같은 소재이다. 덕분에 미국에서는 스쿨버스와 충돌된 상황을 보면 스쿨버스는 가벼운 손상을 입은 반면에 충돌한 차량은 비교적 큰 손상을 입는다. 그렇기에 스쿨버스 근처에서 주행할 때 피하거나 더욱 조심히 운전한다. 이또한 법으로 규정되어 있어, 거의 모든차량이 크고 단단한 형체를 가지고 있다.[4]
  • 안전장치: 스쿨버스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몇몇개의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어린층의 신체구조와 맞는 안전띠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주변을 잘 확인 할 수 있도록 광각 실외후사경이 있고, 후방확인 장치까지 달린다. 탑승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을 낮게하고 또는 탑승용 발판을 설치하기도 한다.국내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급정거 시에 목이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좌석 높이를 규정하기도 한다.[5] 또한 비상문과 비상 창문을 구비하여 사고로 전복이 되어 천장이 가라앉거나 비상문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특수 프로텍션으로 설계한다. 이외에도 연료가 흘러나와 화재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탱크와 펌프등도 일반차와 다르게 만든다.

비교

미국

미국은 스쿨버스 하나를 제작하기 위하여 상당한 규정을 정해놓고 있으며, 엄격한 교통법규로 인하여 미국 도로에서는 절대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6] 제도를 통하여 스쿨버스의 안전도가 상당히 높다. 통계적으로 따르면 미국 스쿨버스 정보국(School Bus Information Council)에서 미국에는 연간 47만5,000대의 스쿨버스가 운행되며 2,500만명의 어린이를 수송한다.[7] 스쿨버스의 100만마일(161만㎞)당 사망자 수는 0.2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는데 이는 승용차의 경우 사망률은 0.94명, 비행기 0.06명, 기차는 0.04명인것을 감안하면 엄청 낮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안전규제

미국은 한국의 학원에 해당하는 각 기관이 차량을 운전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안전규제에 대한 법적기준을 충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국내에 비해 찾아보기 힘들다. 군용차에 사용되는 강판을 사용하고, 총기 사고에 대비하여 방탄 처리까지 되어있다. 이때문에 전쟁이나 재난 발생시에 국가가 군용으로 징발하기도 한다.[8] 또한 전복사고를 대비한 비상문과 전용 탈출구를 지붕과 차량 후면에 설치해야 한다. 보행자가 스쿨버스 운전자 시야에 보이지 않아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버스 출입구 근처에 지지봉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내부의 좌석은 단단하고 높으며 사고충격을 잘 흡수할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앞좌석에 부딪혔을 때를 고려하여 머리 또는 척추를 다치지 않도록 제작한다. 비교적 과하다 싶을 정도의 튼튼함과 각종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때문에 차량이 크고 더욱 비싸다.

운전자

대부분 주에서는 통학버스 운전자를 학생수송안전전문가(Student transport Safety Specialists)로 불리는데 스쿨버스 운전자가 되기 위해서는 매우 까다롭다. 운전자 교육을 의무화함으로써 통학버스운전자는 최소 6시간에서 최대 40시간에 이르는 신입교육과 최소 3시간에서 10시간에 이르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9] 또한 반드시 미국 교통국(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이 발행하는 상업용 운전면허증(Commercial Driver's Licanse)를 소지해야 하고 운전 경력과 기록, 건강진단서 외에도 범죄기록이나 술과 마약에 대한 조사와 확인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만큼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해놓은 제도적 장치라 볼 수 있다.[10]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스쿨버스 운전자가 되어 더욱이 수행하여야하는 직무에 대하여 책임감을 가지게 됨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적다.

교통법규

미국은 1940년 중반부터 학생 승하차시 주변 운전자들이 멈추도록 하는 교통법규를 제정해 놓았다. 이는 학생들이 승하차시 주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점과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않아 위험으로부터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없다고 판단한 이유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골에서 많은 도로에 횡단보도가 전혀없어 아이들이 건너다가 버스에 가려서 오는 차를 못보고 치이는 것을 방지하여 만들어 졌다. 각 주의 운전면허증 시험 문제집 첫장을 장식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어기고 위반할 경우 엄충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정차위반시 250~2,000달러(한화 약 30만~230만 원)의 벌금과 함께 교통법규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 이수해야한다. 뉴욕시는 첫 위반은 250달러와 함께 벌점 5점, 3년이내 다시 적발되면 최소 600달러 한화 약 70만원의 벌금을 내고 , 3번 적발 시 최대 1000달러 벌금에 최소 6개월 면허정지가 된다. 이러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도주하는 차량을 끝까지 적발을 하기 위하여 스쿨버스 외부에 장착된 교통단속 CCTV가 작동되고 있다. 이처럼 교통법규가 엄격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1] 일반적으로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스쿨버스가 정차하면 양방향 차량 모두 멀리 떨어져 정차해야 한다. 2차선이라면 맞은편 차량도 정차해야한다. 추월도 불가능 하다. 구급차, 경찰차, 소방차도 긴급 출동이 아니라면 무조건 정차해야 한다. 중앙 분리대가 존재할 경우 주마다 해당 불법과 합법 여부가 갈리는데 불법인 주에서는 아이들이 도로를 무단횡단할 수 있도록 허용된 경우로, 해당 2+1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학생들의 무단횡단을 불법화한 주는 보통 반대 방향의 진행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8]

대한민국

관련교통법

각주

  1. 1.0 1.1 다커포스트, 〈장갑차보다 튼튼하고 힘센 스쿨버스 이야기〉, 《네이버 포스트》, 2017-08-12
  2. 마미베이, 〈미국에서 운전하기 2. 스쿨버스 STOP〉, 《티스토리》, 2018-02-03
  3. 글쓴이, 〈어린이집, 유치원 통학버스가 노란색인 이유〉, 《브런치》, 2018-04-30
  4. 미국 스쿨버스가 장갑차만큼 튼튼한 이유?!〉, 《포스코》, 2015-06-10
  5. 공성윤 기자, 〈미국의 ‘어린이 버스’ 안전기준, 한국엔 없다〉, 《시사저널》, 2018-04-18
  6. 이진웅, 〈“이 차랑 사고나면 진짜 큰일납니다” 도로에서 포착된 의문의 자동차 정체 알려드립니다〉, 《오토포스트》, 2021-09-03
  7. 글쓴이, 〈(기획)안전의 대명사, 미국 스쿨버스〉, 《오토타임즈》, 2015-03-25
  8. 8.0 8.1 스쿨버스〉, 《나무위키》
  9. 글쓴이, 〈(기획)안전의 대명사, 미국 스쿨버스〉, 《오토타임즈》, 2015-03-25
  10. 안심수명보증제, 〈한국통학버스 Vs 미국 스쿨버스〉, 《네이버블로그》, 2013-03-28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스쿨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