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정우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정우현.jpg|썸네일|300픽셀|'''정우현''']]
 
[[파일:정우현.jpg|썸네일|300픽셀|'''정우현''']]
 +
[[파일:㈜아톰릭스랩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톰릭스랩]]'''(Atomrigs Lab)]]
  
[[파일:아톰릭스컨설팅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톰릭스컨설팅]]'''(Atomrigs Consulting)]]
+
'''정우현'''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컨설팅]] 전문 기업인 '''[[㈜아톰릭스랩]]'''<!--아톰릭스컨설팅-->의 대표이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의 공동조직자이기도 하다. 2018년 [[장중혁]], [[황현철]], [[배경일]] 등과 함께 ㈜아톰릭스랩 회사를 공동 창업했다.
 
 
'''정우현'''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컨설팅]] 전문 기업인 '''[[아톰릭스컨설팅]]'''<!--아톰릭스 컨설팅-->의 대표이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의 공동조직자이기도 하다. 2018년 [[장중혁]], [[황현철]], [[배경일]] 등과 함께 아톰릭스컨설팅 회사를 공동 창업했다.
 
  
 
== 약력 ==
 
== 약력 ==
9번째 줄: 8번째 줄:
 
*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통신 정책과 졸업
 
*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통신 정책과 졸업
 
*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 조직자
 
*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 조직자
* 아톰릭스컨설팅 공동 창립 및 대표
+
* ㈜아톰릭스랩 공동 창립 및 대표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15번째 줄: 14번째 줄:
 
정우현은 [[코인어스]]의 어드바이저로 합류했다. 코인어스는 하나의 지갑에서 다양한 코인과 토큰을 보관할 수 있는 모바일 [[월렛]] 서비스다. 현재 [[비트코인]]·[[이더리움]]·[[이오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기반 토큰 ERC-20 전 종류를 지원한다. 다른 지갑들과 다른 장점은, 토큰들의 컨트렉트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적해주는 기능이 있어, 입금하게 되면 토큰이 자동으로 표기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코인어스는 국내 월렛 중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ref>포러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promotion&wr_id=621 암호화폐 월렛 코인어스, 어드바이저 ‘정우현(Atom)’ 등 대거 합류..]〉, 《블록체인허브》 ,2018.10.15</ref>
 
정우현은 [[코인어스]]의 어드바이저로 합류했다. 코인어스는 하나의 지갑에서 다양한 코인과 토큰을 보관할 수 있는 모바일 [[월렛]] 서비스다. 현재 [[비트코인]]·[[이더리움]]·[[이오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기반 토큰 ERC-20 전 종류를 지원한다. 다른 지갑들과 다른 장점은, 토큰들의 컨트렉트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적해주는 기능이 있어, 입금하게 되면 토큰이 자동으로 표기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코인어스는 국내 월렛 중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ref>포러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promotion&wr_id=621 암호화폐 월렛 코인어스, 어드바이저 ‘정우현(Atom)’ 등 대거 합류..]〉, 《블록체인허브》 ,2018.10.15</ref>
  
=== 아톰릭스컨설팅 ===
+
=== ㈜아톰릭스랩 ===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정우현, 아이블록 대표 [[장중혁]], 뉴트리노 인베스트먼트 대표 [[황현철]], 카이스트 블록체인 밋업 파운더 [[배경일]]은 건강한 한국 이더리움 생태계의 발전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투자 자문 회사 [[아톰릭스컨설팅]]<!--아톰릭스 컨설팅-->을 설립했다.아톰릭스컨설팅은 블록체인 플랫폼의 리더격인 이더리움 기반 비즈니스 발굴 및 육성에 주력하는 컨설팅 및 크립토펀드 회사다. 컨설팅으로만 끝내는게 아닌 [[크립토펀드]]를 추구한다. 단순히 프로젝트 하나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닌 블록체인 생태계 관점에서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이고, 거기에 맞는 프로젝트들을 엮어서 의미 있게 돌아가게 만든다. 아톰릭스컨설팅은 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디앱 발전을 추구한다.<ref>황치규 기자,〈[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93 화제의 중심 '아톰릭스' 행보 주목..."블록체인이 뭔지 보여주겠다"]〉,《더비체인》, 2018.10.05</ref>
+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정우현, 아이블록 대표 [[장중혁]], 뉴트리노 인베스트먼트 대표 [[황현철]], 카이스트 블록체인 밋업 파운더 [[배경일]]은 건강한 한국 이더리움 생태계의 발전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투자 자문 회사 [[㈜아톰릭스랩]]<!--아톰릭스컨설팅-->을 설립했다. ㈜아톰릭스랩은 블록체인 플랫폼의 리더격인 이더리움 기반 비즈니스 발굴 및 육성에 주력하는 컨설팅 및 크립토펀드 회사다. 컨설팅으로만 끝내는게 아닌 [[크립토펀드]]를 추구한다. 단순히 프로젝트 하나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닌 블록체인 생태계 관점에서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이고, 거기에 맞는 프로젝트들을 엮어서 의미 있게 돌아가게 만든다. ㈜아톰릭스랩은 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디앱 발전을 추구한다.<ref>황치규 기자,〈[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93 화제의 중심 '아톰릭스' 행보 주목..."블록체인이 뭔지 보여주겠다"]〉,《더비체인》, 2018.10.05</ref>
  
 
==== 커스터디 ====
 
==== 커스터디 ====
아톰릭스컨설팅은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커스터디]] 사업을 비롯한 크립토 금융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했다. 커스터디 서비스는 주식, 채권, 펀드, 외환 등의 금융자산과 상품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 등 고객의 자산을 수탁받아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총칭한다. 자산 보관뿐 아니라 결제, 대여, 세금, 배당, 회계 등 자산 보유 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 커스터디 사업은 크립토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때문에 크립토 자산 시장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커스터디 사업을 통해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업과 개인들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다.<ref> 임유경 기자, 〈아톰릭스컨설팅, 크립토자산 커스터디 사업 추진〉, 《지디넷코리아》, 2018-11-21</ref>
+
㈜아톰릭스랩은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커스터디]] 사업을 비롯한 크립토 금융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했다. 커스터디 서비스는 주식, 채권, 펀드, 외환 등의 금융자산과 상품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 등 고객의 자산을 수탁받아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총칭한다. 자산 보관뿐 아니라 결제, 대여, 세금, 배당, 회계 등 자산 보유 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 커스터디 사업은 크립토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때문에 크립토 자산 시장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커스터디 사업을 통해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업과 개인들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다.<ref> 임유경 기자, 〈아톰릭스컨설팅, 크립토자산 커스터디 사업 추진〉, 《지디넷코리아》, 2018-11-21</ref>
  
 
== 향후 계획 ==
 
== 향후 계획 ==
정우현 대표는 여러 방면에서 암호경제학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화, 체계화하면서 이더리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활용해 기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업무영역에도 블록체인이 잘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아톰릭스컨설팅은 커스터디 사업을 필두로 크립토펀드, 마켓메이킹, 크립토 브로커리지,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탈중앙화거래소 등 건전한 크립토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들을 준비 중이다.
+
정우현 대표는 여러 방면에서 암호경제학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화, 체계화하면서 이더리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활용해 기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업무영역에도 블록체인이 잘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아톰릭스랩은 커스터디 사업을 필두로 크립토펀드, 마켓메이킹, 크립토 브로커리지,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탈중앙화거래소 등 건전한 크립토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들을 준비 중이다.
  
 
{{각주}}
 
{{각주}}
35번째 줄: 3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아톰릭스컨설팅]]
+
* [[㈜아톰릭스랩]]
 
* [[장중혁]]
 
* [[장중혁]]
 
* [[황현철]]
 
* [[황현철]]

2021년 4월 27일 (화) 11:04 판

정우현
㈜아톰릭스랩(Atomrigs Lab)

정우현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컨설팅 전문 기업인 ㈜아톰릭스랩의 대표이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의 공동조직자이기도 하다. 2018년 장중혁, 황현철, 배경일 등과 함께 ㈜아톰릭스랩 회사를 공동 창업했다.

약력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졸업
  •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통신 정책과 졸업
  •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 조직자
  • ㈜아톰릭스랩 공동 창립 및 대표

주요 활동

코인어스

정우현은 코인어스의 어드바이저로 합류했다. 코인어스는 하나의 지갑에서 다양한 코인과 토큰을 보관할 수 있는 모바일 월렛 서비스다. 현재 비트코인·이더리움·이오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기반 토큰 ERC-20 전 종류를 지원한다. 다른 지갑들과 다른 장점은, 토큰들의 컨트렉트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적해주는 기능이 있어, 입금하게 되면 토큰이 자동으로 표기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코인어스는 국내 월렛 중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1]

㈜아톰릭스랩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정우현, 아이블록 대표 장중혁, 뉴트리노 인베스트먼트 대표 황현철, 카이스트 블록체인 밋업 파운더 배경일은 건강한 한국 이더리움 생태계의 발전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투자 자문 회사 ㈜아톰릭스랩을 설립했다. ㈜아톰릭스랩은 블록체인 플랫폼의 리더격인 이더리움 기반 비즈니스 발굴 및 육성에 주력하는 컨설팅 및 크립토펀드 회사다. 컨설팅으로만 끝내는게 아닌 크립토펀드를 추구한다. 단순히 프로젝트 하나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닌 블록체인 생태계 관점에서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이고, 거기에 맞는 프로젝트들을 엮어서 의미 있게 돌아가게 만든다. ㈜아톰릭스랩은 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디앱 발전을 추구한다.[2]

커스터디

㈜아톰릭스랩은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커스터디 사업을 비롯한 크립토 금융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했다. 커스터디 서비스는 주식, 채권, 펀드, 외환 등의 금융자산과 상품이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 등 고객의 자산을 수탁받아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총칭한다. 자산 보관뿐 아니라 결제, 대여, 세금, 배당, 회계 등 자산 보유 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 커스터디 사업은 크립토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때문에 크립토 자산 시장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커스터디 사업을 통해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업과 개인들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다.[3]

향후 계획

정우현 대표는 여러 방면에서 암호경제학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화, 체계화하면서 이더리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활용해 기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업무영역에도 블록체인이 잘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아톰릭스랩은 커스터디 사업을 필두로 크립토펀드, 마켓메이킹, 크립토 브로커리지,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탈중앙화거래소 등 건전한 크립토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들을 준비 중이다.

각주

  1. 포러미,〈암호화폐 월렛 코인어스, 어드바이저 ‘정우현(Atom)’ 등 대거 합류..〉, 《블록체인허브》 ,2018.10.15
  2. 황치규 기자,〈화제의 중심 '아톰릭스' 행보 주목..."블록체인이 뭔지 보여주겠다"〉,《더비체인》, 2018.10.05
  3. 임유경 기자, 〈아톰릭스컨설팅, 크립토자산 커스터디 사업 추진〉, 《지디넷코리아》, 2018-11-2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정우현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