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해시넷
jonahkim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7월 29일 (금) 14:15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괌''' 국기 '''괌'''(영어: Guam, 차모로어: Guåhan)은 오세아니아미크로네시아 마리아나 제도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어: Guam, 차모로어: Guåhan)은 오세아니아미크로네시아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미국의 해외 속령이다.

수도는 하갓냐(Hagåtña)/아가냐(Agana)인데 Agaña라고도 쓴다. 1999년에는 수도의 이름을 스페인어 '아가냐'에서 차모로어에 가까운 '하갓냐'로 개명했다. 현지에서는 '하갓냐'와 '아가냐' 모두 문제 없이 통용된다.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데데도(Dededo)이다. 그러나 이는 데데도의 면적이 하갓냐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으로, 면적 대비 인구수로 따지면 실질적으로는 하갓냐가 최대 도시이고 경제와 공업의 중심지는 타무닝(Tamuning)이다. 괌의 주요 산업인 관광의 중심지인 동시에 쇼핑시설과 주요 경제시설들이 밀집해 있는 투몬, 공업단지가 있는 하몬 등이 있기 때문. 실제로도 직접 가 보면, 타무닝 지역이 다운타운(Downtown) 느낌이다.

관광지와 휴양지로서 잘 알려진 대중적인 섬이며, 미국이 1900년에 이 섬을 차지한 이래 동아시아에 미국의 군사력을 투사하기 위한 군사 요충지로서도 기능해왔다. 명목상으로 국가원수는 미국 대통령이지만 괌 주민에게는 미국 본토 대통령에 대한 (피)선거권이 없기 때문에 주민들이 선출하고 미국 대통령이 임명하는 지사(governor, 총독)가 자치관할하고 있다. 자치 지역으로, 미국은 국방과 외교, 이민 정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괌에 자치를 허용하고 있다.

개요

  • 수도: 하갓냐
  • 면적: 543.9km²
  • 인구: 162,742명(2021년)
  • 공용어: 영어, 차모로어
  • 정치체제: 미국의 자치령
  • 대통령: 조 바이든

역사

  • 기원전 21세기부터 남동부 인도네시아에 살던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 포르투갈인 항해사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세계를 주항하다가 1521년 3월 6일에 이 섬에 도착하면서 서양 문명이 접촉하기 시작하였다.
  • 1565년에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장군이 괌을 스페인 땅이라고 주장했다.
  • 1668년에는 이곳에 처음 가톨릭을 선교한 산 비토레스 신부의 도착과 함께 스페인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다. * * 1668년에서 1815년까지, 괌은 멕시코필리핀을 오가는 스페인 무역로의 중요한 휴게소 역할을 했다.
이때는 괌과 마리아나제도의 다른 섬들을 포함하는 캐롤라인제도 전체가 스페인의 필리핀 식민지의 일부로 취급되던 시절이었다. 섬의 원주민 문화인 차모로 문화가 스페인 문화와 전통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훼손되었다.
  • 1898년에는 미국미국-스페인전쟁으로 이 섬의 통치권을 빼앗고 미국에서 필리핀으로 오고 가는 배들의 정거장 역할을 하였다.
  • 제2차 세계대전 중 1941년 12월 8일, 일본이 침략하였다.
마리아나 도 북부가 전쟁 이전에 이미 남양청 (남양 군도)의 관할 구역으로 일본의 보호령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곳에 살던 차모로인들이 차출되어 통역 등 일본 점령군을 위한 일에 종사하게 되었다. 다이큐토 (大宮島)라는 이름으로 약 31개월간 지속된 식민 지배에서 괌의 토착민들은 강제 노동, 가족 이산, 감금, 처형, 강제 수용, 성노예 등에 동원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괌의 차모로인들은 침략자들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마리아나 제도 북부의 차모로인들에게도 일종의 적개심을 품고 있다. 주민 가운데 많은 수가 일본의 침략에 시달린 기억을 품은 채로, 괌은 오늘날까지 유일한 미국령으로 남아 있다.
  • 1944년 7월 21일 괌 전투에서 승리한 미국은 일본군을 몰아내고 섬을 다시 탈환하고 마리아나 제도 북부도 점령·지배했다. 전후, 괌의 정체(政體)를 제공한 〈1950년 괌 헌법 조례〉에 의거 괌은 미국의 헌법령이 되었고 주민들은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 1999년에는 수도의 이름을 스페인어 아가냐에서 차모로어에 가까운 하갓냐로 개명했다.

괌은 마리아나 제도와 함께 원격 오세아니아에 인간이 정착한 최초의 섬이었다. 우연히도 그것은 또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들의 해양 횡단 항해 중 처음이자 가장 긴 여행이며, 나머지 원격 오세아니아 지역의 후기 폴리네시아 정착지와는 별개다. 그들은 필리핀에서 출발하는 이주민들에 의해 기원전 1500년에서 1400년경에 처음 정착되었다. 이것은 첫 번째 천년 AD에 의한 캐롤라인 제도로부터의 두 번째 이주, 그리고 서기 900년에 의한 동남아시아 섬 (거의 필리핀이나 동부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세 번째 이주였다.[14][15]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의 원래 정착민들은 스페인 사람들과 처음 접촉한 후 역사적으로 차모로스라고 알려진 차모루 민족으로 진화했다.[16]: 16 고대 참모루 사회는 차모리(치프), 마투아(상류), 아차오트(중류), 마나창(하류)의 4계급이었다.[16]: 20–21 마투아는 해안 마을에 위치해 있어 어장으로 가장 잘 접근할 수 있는 반면 마력창은 섬의 내부에 위치해 있었다. 마투아와 마나창은 서로 거의 소통하지 않았고, 마투아는 종종 아차오트를 매개체로 사용했다. 또한 마법의 힘을 가진 무당인 "마키아나"나 "카카흐나"나 "수루히누"나 "수루히나"나 다른 종류의 식물과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약을 만드는 치료사들이 있었다. '타오타오 모나'라 불리는 고대 차모루스의 영혼에 대한 믿음은 여전히 유럽 이전 문화의 잔재로서 남아 있다. '타오타오모나'의 노여움을 사지 않고 집에서 식물을 비롯한 천연자재를 안전하게 수확할 수 있는 것은 '수루히누'나 '수루히나'뿐이라고 생각된다. 그들의 사회는 모계 혈통을 따라 조직되었다.[16]: 21

차모루 사람들은 라떼 돌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덮개를 덮은 기둥들의 식민지들을 세워 그들의 집을 지었다. 라떼돌은 마리아나 제도에서만 발견되는 돌기둥으로, 프리컨택 차모루 사회의 최근 발전된 모습이다. 이 라떼돌은 초가집들이 세워지는 토대로서 사용되었다.[16]: 26 라떼돌은 할리기라 불리는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기단과 큰 뇌 산호나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å사( t寺)를 위에 얹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16]: 27–28 이 돌들의 가능한 원천인 로타 라떼 석재 채석장은 1925년 로타에서 발견되었다.[16]: 28

스페인 시대 괌을 여행한 최초의 유럽인은 포르투갈의 항해사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1521년 3월 6일 스페인 왕을 향해 항해하던 중 함대의 지구 일주 항해 중 그 섬을 목격했다.[16]: 41–42 마젤란의 방문에도 불구하고, 괌은 1565년 1월 26일에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즈피에 의해 공식적으로 스페인에 의해 주장되었다.[16]: 46 1565년부터 1815년까지 필리핀 동쪽 태평양에 있는 유일한 스페인 전초기지인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는 아카풀코와 마닐라 사이의 태평양 무역로를 커버한 함대인 마닐라 갤런의 정류장을 재조정하고 있었다.[16]: 51

스페인의 식민지화는 1668년 6월 15일 최초의 가톨릭 교회를 세운 디에고 루이스 데 산 비토레스가 이끄는 사절단이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16]: 64 이 섬들은 스페인령 동인도 제도의 일부였고, 멕시코시티에 본부를 둔 뉴스페인 총독부의 일부였다.[16]: 68 괌에서 벌어진 스페인-차모로 전쟁은 1683년 마지막 대규모 봉기와 함께 예수회 임무와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1670년에 시작되었다. 간헐전, 게다가 1671년과 1693년의 태풍, 특히 1688년의 천연두 전염병은 참모루 개체수를 5만 마리에서 1만 마리로 줄였고, 마침내 5천 마리로 줄어들었다.[16]: 86

이 섬은 1823년부터 포경선들의 쉼터가 되었다.[16]: 145 1848년 8월 10일 파괴적인 태풍이 섬을 강타했고, 이어 1849년 1월 25일에 심한 지진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발생한 쓰나미의 희생자인 캐롤라인 제도에서 많은 피난민이 발생했다.[16]: 151 1856년 천연두 전염병으로 구마니아인 3,644명이 사망한 후, 카롤리나인들과 일본인들은 마리아나에 정착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6]: 157

미국 시대 스페인 왕국의 일부로 거의 4세기 후에, 미국은 1898년 파리 조약의 일환으로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한 후 이 섬을 점령했다. 괌은 1898년 12월 23일 제25대 대통령 윌리엄 맥킨리로부터 행정명령 108-A에 의해 미 해군 통제로 이관되었다.

괌은 필리핀을 오가는 미국 상인과 군함(스페인으로부터의 또 다른 미국인 인수)을 위한 역이었고, 북마리아나 제도는 스페인이 급속도로 팽창하는 독일 제국의 일부를 위해 독일에 매각했다. 1899년 피티에는 미 해군 마당이, 1901년 수메이에는 미 해병대 막사가 들어섰다.[17]: 13 1921년부터 1930년까지 태평양에서 처음으로 수메이에 해양 수상기 부대가 주둔했다.[17]: 13 상업 태평양 케이블 회사는 1903년에 최초의 태평양 횡단 통신 케이블을 위해 전신/전화 스테이션을 건설했고, 팬아메리칸 월드 에어웨이즈가 태평양 횡단 중국 클리퍼 노선을 위해 쑤메이(Sumay)에 항공기 기지를 설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괌은 1941년 12월 8일 월요일, 진주만 공격과 동시에 국제 날짜 표시선을 넘어 일본의 공격과 침략을 받았다. 일본인들은 괌의 이름을 오미야지마(대신사섬)로 바꾸었다. 괌의 일제 강점기 약 31개월간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괌 토착민들은 강제노역, 가족분리, 감금, 처형, 강제수용소, 강제 성매매에 처해졌다. 이후 2004년 의회 위원회의 증언에 따르면 약 1,000명이 점령 중에 사망했다고 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전쟁 폭력으로 당시 괌 인구 2만 명의 10%가 사망했다고 추정한다.[18] 미국은 돌아와 1944년 7월 21일부터 8월 10일까지 일본의 군사 점령으로부터 섬을 탈환하기 위해 괌 전투와 싸웠다. 7월 21일은 현재 영토의 휴일인 광복절로 기념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괌은 1941년 12월 8일 월요일, 진주만 공격과 동시에 국제 날짜 표시선을 넘어 일본의 공격과 침략을 받았다. 일본인들은 괌의 이름을 오미야지마(대신사섬)로 바꾸었다. 괌의 일제 강점기 약 31개월간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괌 토착민들은 강제노역, 가족분리, 감금, 처형, 강제수용소, 강제 성매매에 처해졌다. 이후 2004년 의회 위원회의 증언에 따르면 약 1,000명이 점령 중에 사망했다고 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전쟁 폭력으로 당시 괌 인구 2만 명의 10%가 사망했다고 추정한다.[18] 미국은 돌아와 1944년 7월 21일부터 8월 10일까지 일본의 군사 점령으로부터 섬을 탈환하기 위해 괌 전투와 싸웠다. 7월 21일은 현재 영토의 휴일인 광복절로 기념되고 있다.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0년 괌 유기법은 괌을 미국의 비법인 조직 영토로 설정하여 섬의 민간 정부 구조를 제공하고 국민에게 미국 시민권을 부여하였다. 괌 주지사는 1968년 괌 선택 주지사법이 공직선거를 규정하면서 연방으로 임명됐다.[19]: 242 괌은 미국 주(州)가 아니기 때문에 괌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은 대통령선거를 할 수 없고 의회 대표는 비투표 의원이다.[10] 그러나 그들은 대통령 예비선거에서 정당 대표들에게 투표할 수 있다.[20] 1969년 북마리아나 제도와의 통일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부결되었다.[21] 1970년대에 메리 반 리어 펙 박사는 공학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괌 대학을 확장했으며, 괌 커뮤니티 칼리지를 설립했다.[17]: 17

존 F 대통령의 괌 보안 허가 제거. 1963년 케네디는 관광산업의 발전을 허락했다. 1990년대 초 미국이 필리핀의 미 해군기지 수빅베이와 클라크 공군기지 기지를 임대 만료 후 폐쇄하자, 그곳에 주둔하고 있던 많은 병력이 괌으로 재배치되었다.[citation needed]

일본을 특히 강타한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는 괌 관광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의 군사 감축도 이 섬의 경제를 혼란에 빠뜨렸다. 1997년 슈퍼티펀즈 파카, 2002년 퐁소나 등의 황폐화와 함께 9·11 테러가 관광에 미친 영향 등으로 경제 회복이 더욱 저해됐다.[citation needed]

지리

길이 30마일(50km)에 폭 4~12마일(6~19km)으로 면적 212㎢(549km)(싱가포르의 4분의 3 크기)로 미국 32번째로 큰 섬이다. 미크로네시아에서 가장 큰 섬일 뿐만 아니라 마리아나 섬 군도의 최남단이자 가장 큰 섬이다.[22] 괌의 포인트 우달(Point Udall)은 미국의 지리적 중심에서 측정한 미국의 최서단 지점이다.[23][24]

괌이 속한 마리아나 체인은 태평양과 필리핀해 지각판과 괌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둘 사이 마이크로 마리아나 판에 위치한다. 괌은 마리아나 해구, 마리아나 해구, 마리아나 해구, 마리아나 해구의 동쪽을 가로지르는 깊은 전도에 가장 가까운 땅덩어리다. 화산 폭발은 대략 5600만년에서 3390만년 전 에오세네 섬의 기지를 형성했다. 괌 북쪽은 이 기지가 산호초 층으로 덮여 석회암으로 변한 뒤 지각 활동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가 고원을 만든 결과다. 섬의 남쪽의 험준한 지역은 최근의 화산 활동의 결과물이다. 괌의 남쪽 끝에 있는 코코스 섬은 해안선을 따라 있는 많은 작은 섬들 중 가장 크다. 괌의 최고 지점은 해발 1334피트(407m)의 람람산이다.[25] 만약 그 기지가 해양에서 가장 깊이 조사된 지점인 챌린저 딥 근처에 있다고 여겨진다면, 램람산은 37,820피트(11,530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26][27]

정치적으로 괌은 19개 마을로 나뉜다. 인구의 대다수가 북쪽의 산호석 석회암 고원에 살고 있으며, 중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활동이 활발하다. 남쪽의 험준한 지형은 주로 농촌 해안 지역으로의 정착을 제한한다. 서부해안은 무역풍이 부는 편으로 압라항과 수도 하그트냐, 투몬의 관광 중심지 등이 위치해 있다. 미 국방부는 이 섬의 약 29%를 공동지역 마리아나스 관리하에 소유하고 있다.[28]

기후

괌은 열대 우림 기후(Köppen Af)를 가지고 있지만, 3월의 가장 건조한 달은 거의 열대 몬순 기후(Köppen Am)로 적합할 정도로 건조하다. 날씨는 대체로 연중 무휴로 계절적인 기온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괌은 연중 기온이 평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역풍은 일년 내내 꽤 일정하지만 여름에는 종종 약한 서풍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괌은 두 가지 뚜렷한 계절을 가지고 있다. 습기와 건기. 건기는 1월부터 5월까지, 그리고 6월은 과도기 기간이다. 우기는 7월부터 11월까지 지속되며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연평균 강수량은 약 98인치 또는 2,490mm이다. 괌 공항에서 기록된 가장 습한 달은 38.49인치(977.6mm)로 1997년 8월이었고, 가장 건조한 달은 2015년 2월 0.15인치(3.8mm)로 기록되었다. 가장 습기가 많은 해는 1976년 131.70인치(3345.2mm)로 가장 건조했고 1998년에는 57.88인치(1,470.2mm)로 가장 건조했다. 하루 동안 가장 많은 비가 내린 것은 1953년 10월 15일, 15.48인치 또는 393.2 밀리미터가 내린 때였다.

평균 고온은 86 °F 또는 30 °C이고, 평균 낮음은 76 °F(24.4 °C)이다. 온도는 거의 90°F(32.2°C)를 초과하거나 70°F(21.1°C) 이하로 떨어지는 일이 없다. 상대습도는 보통 1년 내내 밤에 84%를 넘지만 월평균 습도는 66%에 육박한다. 역대 괌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1971년 4월 18일, 1990년 4월 1일 96°F(35.6°C)로 기록되었다.[29] 2021년 2월 1일 69°F(21°C)로 최저치를 기록했고,[30] 1973년 2월 8일 65°F(18.3°C)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괌은 태풍의[31] 진로에 놓여있으며, 이 섬은 열대성 폭풍과 우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태풍으로 인해 위협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태풍의 가장 큰 위험은 8월부터 11월까지로, 서태평양에서는 태풍과 열대성 폭풍이 가장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것들은 일년 내내 발생할 수 있다. 미국 시대에 괌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은 1900년 태풍 카렌(1962년), 파멜라(1976년), 파카(1997년), 퐁소나(2002년) 등이다.

1976년 태풍 파멜라 이후 목조건물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32][33] 1980년대에는 나무로 된 전신주가 태풍에 강한 콘크리트와 강철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지방 정부가 강화된 건설 법규를 시행한 후, 많은 주택과 사업주들은 태풍 셔터를 설치한 철근 콘크리트로 구조물을 만들었다.

주민

가장 큰 민족은 원주민인 차모루스(Chamorus)로 전체 인구의 37.3%를 차지한다. 아시아인(필리핀인,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포함)이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한다. 기타 미크로네시아 민족(추아인, 팔라우인, 푼페인 포함)이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의 9.4%가 다민족(2종 이상)이다. 미국 백인이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한다. 추정된 인종간 결혼율은 40%가 넘는다.[1]

섬의 공용어는 영어와 차모루어다. 필리핀어는 또한 섬 전역에 공통어다. 다른 태평양 섬 언어들과 많은 아시아 언어들도 괌에서 사용되고 있다. 300년 동안 행정의 언어인 스페인어는 비록 그 언어의 잔재가 적절한 이름, 외래어, 지명 등으로 남아 있고 대학과 고등학교에서 연구되고 있지만 더 이상 섬에서 흔히 쓰이는 언어가 아니다

문화

괌의 문화는 미국, 스페인, 멕시코 전통과 결합한 전통 차모루 풍습의 반영이다.[46] 후유럽과 접촉한 차모루 구마니아 문화는 미국, 스페인, 필리핀, 다른 미크로네시아 섬사람과 멕시코 전통이 혼합된 문화다. 스페인과의 접촉이 있은 후 히스패닉 이전의 토착적인 관습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히스패닉의 영향력은 지역 언어, 음악, 춤, 바다 항해, 요리, 낚시, 게임(바투, 초카, 에쿨레크, 바요구 등), 노래, 패션 등에서 나타난다.[citation needed] 이 섬의 원래 공동체는 거의 4000년 동안 괌에 거주해 온 차모로 원주민들이다.[47] 그들은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언어와 관련된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나중에 그들을 Chamorros라고 불렀는데, Chamorri라는 말의 파생어는 "고블 레이스"이다. 그들은 섬에서 쌀을 재배하기 시작했다.[48]

역사적으로, 괌의 원주민들은 조상들의 뼈를 숭상하여, 두개골을 작은 바구니에 넣어 집에 보관하고, 어떤 대상을 얻고자 할 때 그들 앞에서 주술을 연습했다.[49] 스페인 통치 기간(1668–1898) 동안 인구의 대다수가 가톨릭으로 개종되었고 부활절과 크리스마스 같은 종교적인 축제가 널리 퍼졌다. 많은 차모루스는 스페인 성을 가지고 있지만, 주민들 중 스페인 출신은 거의 없다. 그 대신 괌에서 카타로고 알파베티코 데 아펠리도스(Catarlogo alfabético de 팰리도스)의 부과로 스페인의 이름과 성이 일반화되었다.[citation needed] 역사적으로 괌 원주민들의 식단은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생선, 새, 쌀, 빵과일, 토란, 얌, 바나나, 코코넛 등으로 구성되었다.[50] 접촉 후 차모루 요리는 주로 옥수수를 기본으로 하며, 주로 멕시코인 메소아메리카에서 아시아와의 스페인 무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토르티야, 타말레스, 아톨레, 칠라킬레스 등이 포함된다.[citation needed]

스페인으로부터의 외국의 문화적 영향 때문에, 비록 지난 몇 십 년 동안 히스패닉 이전의 문화를 보존하는 데 있어서 부활이 있었지만, 초기 토착 문화의 대부분의 면은 상실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춤, 언어, 카누 건물과 같은 원래 참모루 문화 관행이 어땠을지 연구하기 위해 태평양 섬을 여행했다.[citation needed]

스포츠

괌의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미식축구, 그 다음은 농구와 야구다. 축구와 다른 스포츠들도 어느 정도 인기가 있다.[51] 괌은 1975년과 1999년에 태평양 대회를 개최했다. 2007년 대회에서 괌은 메달 집계에서 22개국 중 7위, 2011년 대회에서는 14위를 기록했다.

괌 남자농구 대표팀과 여자대표팀은 호주 남자농구 대표팀과 뉴질랜드 농구 대표팀의 뒤를 이어 오세아니아 지역의 전통의 강호다. 2019년 현재 남자대표팀은 퍼시픽게임즈 농구 토너먼트에서 군림하고 있는 챔피언이다. 괌에는 괌 농구협회 등 다양한 농구단체들이 입주해 있다.[52][53]

괌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5년에 창단되었고 1996년에 FIFA에 가입했다. 한때는 FIFA의 가장 약한 팀 중 하나로 여겨졌고, 2009년에 FIFA 등록 팀을 상대로 첫 승리를 경험했다. 괌은 2015년 처음으로 이 섬에서 예선전을 개최했고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첫 승을 거뒀다.[54] 괌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은 2005년에 첫 경기를 치렀고 럭비 월드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은 적이 없다.[citation needed]

관광업

서태평양에 누워 있는 괌은 일본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그것의 관광 중심지인 투몬은 20개가 넘는 대형 호텔, 면세점 쇼핑객 갤러리아, 쾌적한 섬 지역, 실내 수족관, 샌드캐슬 라스베가스 스타일의 쇼와 다른 쇼핑 및 오락 장소를 갖추고 있다. 하와이에 비해 아시아나 호주에서 비교적 짧은 비행기로, 호텔과 7개의 공공 골프장이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다. 관광객의 75%가 일본인이지만 괌은 한국 미국 필리핀 대만에서도 상당한 수의 관광객을 받고 있다.[56] 수익의 주요 원천으로는 면세 디자이너 쇼핑 아웃렛과 미국식 쇼핑몰인 미크로네시아 몰, 괌 프리미어 아웃렛, 아가나 쇼핑 센터, 세계 최대 규모의 K마트 등이 있다.[57]

2000년 이후 관광산업 증가로 경제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citation needed] 2010~2015년 현재 일본[inconsistent]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미 해병 제3해병대(약 8000명, 부양가족 1만 명)의 괌 이전으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2020년 말 이전이 늦어져 해병대 병력은 5000명으로 줄었고, 2025년 완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58] 2003년 괌은 14%의 실업률을 기록했고 정부는 3억1400만달러의 실업난을 겪었다.[59] 2019년 현재 실업률은 6.1%로 떨어졌다. 그러나 2020년 9월까지 실업률은 17.[60]9%로 다시 높아졌다.

미국,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공화국, 팔라우 공화국 사이의 자유 연합은 태평양 제도 신탁 지역의 이전 실체들을 미국과 "자유 연합"의 정치적 지위에 동의하였다. 컴팩트는 이러한 섬나라 시민들에게 미국(또는 그 영토)에 거주하는 데 아무런 제약도 주지 않으며, 괌의 근접성, 환경성, 문화적 친숙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괌에 매료되었다. 수년 동안, 괌의 일부 사람들은 해당 지역이 공공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 지역 출신자들에 대한 공교육의 형태로 이 협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으며, 연방정부는 이러한 유형의 이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와 영토를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citation needed] 수년에 걸쳐 의회는 "컴팩트 임팩트" 원조를 괌, 북마리아나 제도, 하와이에 전용했고, 결국 이 전용은 갱신된 각 컴팩트에 쓰여졌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보상이 충분하지 않거나 받은 실제 보상금의 분포가 현저하게 불균형하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citation needed]

2008년 현재 약 1,400명의 일자리를 가진 괌의 단일 민간 부문 최대 고용주는 콘티넨탈 항공의 자회사인 콘티넨탈 미크로네시아였으며,[61] 현재는 시카고에 본사를 둔 유나이티드 항공 홀딩스의 자회사인 유나이티드 항공의 일부분이다.[62] 2008년 현재 괌의 콘티넨탈 미크로네시아 연간 급여는 9천만 달러였다.[63]

교육

괌 교육부는 괌 섬 전체에 서비스를 하고 있다. 2000년 괌 공립학교에는 초등학교 26개교, 중학교 8개교, 고등학교와 대안학교 6개교 등 3만2000여 명이 재학했다. 괌 공립학교들은 높은 중퇴율과 낮은 시험 점수와 같은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어왔다.[81][82] 괌의 교육 시스템은 미국 본토에서 6,000마일(9,7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지역사회가 전통적인 미국 교육을 받지 않은 배경에서 온 많은 학생들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학생 단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독특한 도전에 직면해 왔다.[83] 1990년대 중반 이후 괌의 경제 침체는 학교들의 문제들을 복잡하게 만들었다.[84]

1997년 9월 이전에 미 국방부는 괌 교육청과 협력했다.[85] 1997년 9월 국방교육활동부(도DEA)는 군 장병 자녀들을 위한 자체 학교를 개교했다.[86] 일부 연방 민간직원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데아 학교는 2000년에 2,500명이 출석했다. 도데아 괌은 초·중학교 3곳과 고등학교 1곳을 운영하고 있다.[87]

서양학술협회(Western Association of School and College)가 완전 인가한 괌 대학(UOG)과 괌 커뮤니티 칼리지가 고등교육 과정을 제공한다.[88] UOG는 미국 전체에서 유일하게 106개의 육상 기관으로 구성된 독점 그룹의 회원이다. 퍼시픽 아일랜드 대학교는 기독교 대학 및 학교 초국가연합이 국가적으로 인가한 작은 기독교 교양 기관이다.

지도

참고자료

  • 〉, 《위키백과》
  • 〉, 《요다위키》
  • 〉, 《나무위키》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괌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