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Estonia)는 북유럽에 있는 국가이다. 정식 국가명은 에스토니아 공화국으로서, 에스토니아어로는 에스티 바바리크(Eesti Vabariik)라고 한다. 인구는 130만 명이고, 언어는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한다. 동쪽으로는 러시아에 붙어 있고, 북쪽으로는 핀란드를 마주하고 있다. 에스토니아의 수도는 탈린(Tallinn)이다. 에스토니아는 작은 영토와 인구를 가진 나라이지만, 정보통신 분야에 집중 투자하여 에스토니아 전자정부를 구축하였으며, 세계적인 정보통신 선도국가로 꼽히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고대부터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땅이었다. 1227년 독일에 점령되어 기독교화되었으며, 이후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 러시아가 붕괴된 후 1918년 2월 24일 에스토니아는 러시아로부터 독립했다. 하지만 1940년 다시 소련에 강제 편입되었다가,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소련 등 사회주의권이 붕괴하기 시작하자, 1991년 8월 20일에 노래 혁명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얻었다. 8월 20일은 에스토니아의 독립 기념일이다.[1]
블록체인 기술 개발[편집]
에스토니아는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한 국가이다. 에스토니아는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자정부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러시아계로 추정되는 세력에 의한 디도스 공격이 지속되자, 탈중앙 분산 방식으로 작동하는 인터넷 구조를 고안하였다. 2007년 4월부터 약 3주간 진행된 대규모 디도스 공격으로 엑스로드(X-Road)라는 에스토니아 정부의 전산 시스템이 1주일 이상 마비되자, 에스토니아 정부는 기존의 중앙집중식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는 디도스 공격을 막을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에스토니아는 디도스 공격에 대처하기 위해 해외 클라우드 서버에 정부 행정 데이터를 이전하는 한편, 가드타임(Guardtime)이 개발한 키 없는 서명 인프라(KSI, Keyless Signiture Infrastructure)라는 기술을 도입했다. 가드타임은 2007년 악터 불다스(Ahto Buldas)와 마틴 루벨(Martin Ruubel)이 에스토니아의 수도인 탈린에 설립한 보안 기술 전문 업체이다. 가드타임은 2007년 해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해시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탈중앙화를 이룰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2008년에는 KSI 기술 테스트를 시작했고, 2012년에 에스토니아 정부 및 민간 서비스에 실제로 적용되었다.
에스토니아의 가드타임이 개발한 KSI 기술은 비트코인에서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과 매우 유사하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 백서를 작성한 것은 2018년 10월 31일이었고, 실제로 비트코인이 세상에 등장한 것은 2009년 1월 3일이다. 하지만 에스토니아의 가드타임은 그보다 1년 빠른 2007년에 이미 블록체인과 거의 동일한 KSI 기술을 자체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가드타임의 이보 로흐무스(Ivo Lõhmus) 부사장은 사토시 나카모토보다 자신들이 먼저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한 것은 맞지만, 사토시 나카모토가 자신들의 기술을 참고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2]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에스토니아 문서는 국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지역 : 지역, 한국지리, 세계지리, 국가 □■⊕, 도시, 한국행정구역, 지도서비스,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
|
국가
|
가족 • 가족국가 • 경찰국가 • 고대국가 • 공국 • 공산주의국가 • 공화국 • 괴뢰국 • 국가 • 국경 • 국경선 • 국민 • 국토 • 군주국 • 근대국가 • 나라 • 노예국가 • 대국 • 도시국가 • 독립국 • 독재국가 • 민족 • 민족국가 • 민주주의국가 • 봉건국가 • 부족 • 부족국가 • 분단국 • 사회주의국가 • 섬나라 • 소국 • 속국 • 술탄국 • 시민 • 시민사회 • 식민지 • 야경국가 • 연방국가 • 영공 • 영토 • 영해 • 왕국 • 인민 • 입헌군주국 • 자치국 • 자치령 • 전쟁국가 • 전통국가 • 제국 • 제국주의 • 제후 • 제후국 • 주권 • 주권국 • 중립국 • 중세국가 • 통일국가 • 통일왕국 • 패권국가 • 현대국가 • 황제국
|
|
아시아의 국가
|
네팔 • 대만(타이완)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버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지아 • 중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튀르키예(터키) • 파키스탄 • 필리핀
|
|
유럽의 국가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저지 정부 • 지브롤터(영국령)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북아메리카의 국가
|
과테말라 • 그린란드(덴마크령)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멕시코 • 미국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아이티 • 알래스카(미국령)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쿠바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미국령)
|
|
남아메리카의 국가
|
가이아나 • 기아나(프랑스령)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루바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퀴라소 • 파라과이 • 페루 • 포클랜드제도(영국령)
|
|
아프리카의 국가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레위니옹(프랑스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서사하라 • 세네갈 • 세이셸공화국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케냐 • 코트디부아르 • 콩고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오세아니아의 국가
|
괌(미국령) • 나우루 • 누벨칼레도니(프랑스령) • 뉴질랜드 • 마셜제도 • 미크로네시아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하와이(미국령) • 호주
|
|
기타
|
GUTS • 국제 • 국제연맹 • 글로벌 • 나토(NATO) • 남오세티야 • 동독 • 리버랜드 • 북키프로스 • 서독 • 세계 • 소련 • 아르차흐공화국 • 아세안(ASEAN) • 압하지야 • 영연방 • 월드 • 유럽연합(EU) • 유엔(UN, 국제연합) • 이슬람국가(IS) • 지구 • 팔레스타인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자동차, 교통, 지역, 개발, 거래, 인물, 기업, 단체,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