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의견.png

"쿠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쿠바 국기.jpg|썸네일|300픽셀|'''쿠바''' 국기]]
 +
 +
'''쿠바 공화국'''(스페인어: República de Cuba), 약칭 '''쿠바'''(스페인어: Cuba)는 [[북아메리카]]의 [[카리브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
 +
[[윈드워드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는 [[히스파니올라섬]]에 있는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이, [[케이만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케이만 제도]]와 [[자메이카가]], [[플로리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미국]] [[플로리다주]]가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아메리카]]에 포함되지만, 광의의 [[중앙아메리카]]에도 포함된다.「아메리카 합중국의 뒷마당」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뒷마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유럽]]과 [[라틴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요로에 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성립한 공산주의 정권을 기념하여 「카리브에 떠오르는 붉은 섬」이라고 형용되기도 한다.
 +
 +
== 개요 ==
 +
* 수도: [[아바나]]
 +
* 면적: 110,860km2
 +
* 인구: 10,985,648명(2022년)
 +
* 공용어: 스페인어
 +
* 정치체제: 단일 국가, 사회주의 공화국, 일당제, 공산국가
 +
* 국가주석: 미겔 디아스카넬
 +
 +
== 지도 ==
 +
{{쿠바 행정 지도|800}}
 +
{{지도|쿠바}}
 +
 +
== 역사 ==
 +
===식민지 시대===
 +
쿠바에는 수천 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사람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해방투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 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 [[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베일레르]](Valeriano Weyler)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
 +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 중에 폭발한 사고(메인호 사건)(후에 미국의 자작극으로 확인되었다.)를 구실로 미국이 일으킨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 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
 +
군인들과 바티스타의 독재
 +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 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자유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해졌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
 +
공산주의 독재
 +
1959년 카스트로가 정권을 장악하여 쿠바는 공산화되었다. 피델 카스트로는 집권한 이 후 쿠바 내 미국 자산을 모두 국유화하였고, 이에 미국은 강력반발하며 보복으로 1961년 1월 3일 국교를 단절하고 대사관을 폐쇄하였다. (이 때 쿠바는 프로 야구인 큐반 리그를 없애 버렸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공산화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 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공산당 군벌들을 원조했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정부군을 지원하였다.
 +
 +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쿠바의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차원의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쿠바에 제재를 가했다. 카스트로정권에 반대하여 수감된 양심수가 500명에 이른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로부터 인권 침해로 비난받아 왔다. 2008년, 피델 카스트로의 건강악화를 이유로 친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새로운 국가평의회장직을 계승했다. 2014년 12월 18일, 쿠바는 적대적인 관계였던 미국과 국교정상화를 했다. 2016년 11월 28일에 마침내 피델 카스트로는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
== 정치 ==
 +
세이셸의 대통령은 동시에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5년 임기로 주민들의 직선을 통해 선출된다. 2대 대통령인 [[프랑스 알베르 르네]](France Albert René)는 1977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으며 1991년 다당제로 개헌 후 1993년 실시된 대선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르네 대통령은 2003년 부통령인 [[제임스미셀]](James Michel)을 후계자로 지정했으며 2004년에 사임하였다. 2004년 대통령직을 승계한 제임스 미셀은 이후 2006년에 치러진 대선에서 [[와벨 람카왈란]](Wavel Ramkalawan)을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2011년 재선에 성공했다. 2015년 치러진 대선에서는 와벨 람카왈란에 겨우 193표 차로 승리했다. 제임스 미셀은 2016년에 사임하고 부통령인 [[대니 포르]](Danny Faure)를 후계자로 지정했다.
 +
 +
내각은 대통령이 임명하여 의회의 과반수 찬성을 필요로 한다.
 +
 +
단원제의 세이셸 국회는 34석으로 구성되며 그중 25석은 직선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9석은 각 당의 득표수에 따라 비례해 구성된다. 모든 의원의 임기는 5년이다.
 +
 +
세이셸은 [[인도양 위원회]](Commission de l'Océan Indien)의 회원국이다.
 +
 +
== 지리 ==
 +
[[인도양]]의 군도로 115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33개는 무인도이다. 마헤(Mahé)섬을 위주로 화강암으로 구성된 섬들에 대부분의 인구가 몰려 있다. 특히 수도인 [[빅토리아]]가 위치해 있는 [[마헤섬]]에는 인구의 80%가 거주하고 있다. 외곽의 섬들은 소규모의 산호섬이다.
 +
 +
세이셸은 연중 섭씨 22~32도의 열대 기후이며, 몬순의 영향으로 5월말부터 9월까지는 기온이 낮아지고,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는 더 따뜻하다. 세이셸은 열대성 저기압대에서 벗어나 있다.
 +
 +
2004년 12월의 인도양 지진 해일 사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는 않았으나, 해일로 인한 피해를 입었고, 2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었다.
 +
 +
== 경제 ==
 +
아프리카의 몇 안되는 선진국이며, 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전체 노동 인구의 30%가 관광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최근 정부는 호텔과 기타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외국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
 +
정부는 관광에 대한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농업, 어업과 소규모 제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
 +
== 암호화폐 거래소 ==
 +
셰이셸공화국에 등록된 암호화폐 거래소는 다음과 같다.
 +
* [[빌락시]]
 +
* [[비트파이]]
 +
* [[바일랜스]]
 +
* [[데이멕스]]
 +
* [[크렉스24]]
 +
* [[마이코인스토리]]
 +
* [[빗썸퓨처스]]
 +
* [[코인제우스]]
 +
 +
== 주민 ==
 +
아프리카의 몇 안되는 선진국이며, 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전체 노동 인구의 30%가 관광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최근 정부는 호텔과 기타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외국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
 +
정부는 관광에 대한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농업, 어업과 소규모 제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
 +
주민은 대부분이 이민([[프랑스]], [[아프리카]], [[인도]], [[중국]], [[아랍인]]) 계통의 혼혈로, 크레올 (Creole) 인종이다.
 +
 +
공용어는 [[크레올어]], [[영어]], [[프랑스어]]이다. 세이셸은 영연방과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그러나 프랑스어는 명목적인 것이고, 정치 영역-특히, 선거-에서는 영어와 크레올어를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
 +
문해율은 약 92% 정도로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이는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은 문해율이다.
 +
 +
== 참고자료 ==
 +
* 〈[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C%9D%B4%EC%85%B8 세일셸]〉, 《위키백과》
 +
 +
== 같이 보기 ==
 +
* [[영국]]
 +
* [[빅토리아]]
 +
* [[빌락시]]
 +
* [[비트파이]]
 +
* [[바일랜스]]
 +
* [[데이멕스]]
 +
* [[크렉스24]]
 +
* [[마이코인스토리]]
 +
* [[빗썸퓨처스]]
 +
* [[코인제우스]]
 +
* [[제우스 엔터프라이즈 인터내셔널]]
 +
 +
{{국가|검토 필요}}
 +
[[분류:아프리카]]
 
== 지도 ==
 
== 지도 ==
 
{{쿠바 행정 지도|800}}
 
{{쿠바 행정 지도|800}}

2022년 11월 25일 (금) 12:25 판

쿠바 국기

쿠바 공화국(스페인어: República de Cuba), 약칭 쿠바(스페인어: Cuba)는 북아메리카카리브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다.

윈드워드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는 히스파니올라섬에 있는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이, 케이만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남쪽에는 케이만 제도자메이카가, 플로리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미국 플로리다주가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아메리카에 포함되지만, 광의의 중앙아메리카에도 포함된다.「아메리카 합중국의 뒷마당」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뒷마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유럽라틴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요로에 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성립한 공산주의 정권을 기념하여 「카리브에 떠오르는 붉은 섬」이라고 형용되기도 한다.

개요

  • 수도: 아바나
  • 면적: 110,860km2
  • 인구: 10,985,648명(2022년)
  • 공용어: 스페인어
  • 정치체제: 단일 국가, 사회주의 공화국, 일당제, 공산국가
  • 국가주석: 미겔 디아스카넬

지도

역사

식민지 시대

쿠바에는 수천 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사람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해방투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 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베일레르(Valeriano Weyler)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 중에 폭발한 사고(메인호 사건)(후에 미국의 자작극으로 확인되었다.)를 구실로 미국이 일으킨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 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군인들과 바티스타의 독재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 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자유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해졌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공산주의 독재 1959년 카스트로가 정권을 장악하여 쿠바는 공산화되었다. 피델 카스트로는 집권한 이 후 쿠바 내 미국 자산을 모두 국유화하였고, 이에 미국은 강력반발하며 보복으로 1961년 1월 3일 국교를 단절하고 대사관을 폐쇄하였다. (이 때 쿠바는 프로 야구인 큐반 리그를 없애 버렸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공산화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 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공산당 군벌들을 원조했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정부군을 지원하였다.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쿠바의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차원의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쿠바에 제재를 가했다. 카스트로정권에 반대하여 수감된 양심수가 500명에 이른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로부터 인권 침해로 비난받아 왔다. 2008년, 피델 카스트로의 건강악화를 이유로 친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새로운 국가평의회장직을 계승했다. 2014년 12월 18일, 쿠바는 적대적인 관계였던 미국과 국교정상화를 했다. 2016년 11월 28일에 마침내 피델 카스트로는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정치

세이셸의 대통령은 동시에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5년 임기로 주민들의 직선을 통해 선출된다. 2대 대통령인 프랑스 알베르 르네(France Albert René)는 1977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으며 1991년 다당제로 개헌 후 1993년 실시된 대선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르네 대통령은 2003년 부통령인 제임스미셀(James Michel)을 후계자로 지정했으며 2004년에 사임하였다. 2004년 대통령직을 승계한 제임스 미셀은 이후 2006년에 치러진 대선에서 와벨 람카왈란(Wavel Ramkalawan)을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2011년 재선에 성공했다. 2015년 치러진 대선에서는 와벨 람카왈란에 겨우 193표 차로 승리했다. 제임스 미셀은 2016년에 사임하고 부통령인 대니 포르(Danny Faure)를 후계자로 지정했다.

내각은 대통령이 임명하여 의회의 과반수 찬성을 필요로 한다.

단원제의 세이셸 국회는 34석으로 구성되며 그중 25석은 직선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9석은 각 당의 득표수에 따라 비례해 구성된다. 모든 의원의 임기는 5년이다.

세이셸은 인도양 위원회(Commission de l'Océan Indien)의 회원국이다.

지리

인도양의 군도로 115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33개는 무인도이다. 마헤(Mahé)섬을 위주로 화강암으로 구성된 섬들에 대부분의 인구가 몰려 있다. 특히 수도인 빅토리아가 위치해 있는 마헤섬에는 인구의 80%가 거주하고 있다. 외곽의 섬들은 소규모의 산호섬이다.

세이셸은 연중 섭씨 22~32도의 열대 기후이며, 몬순의 영향으로 5월말부터 9월까지는 기온이 낮아지고,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는 더 따뜻하다. 세이셸은 열대성 저기압대에서 벗어나 있다.

2004년 12월의 인도양 지진 해일 사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는 않았으나, 해일로 인한 피해를 입었고, 2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었다.

경제

아프리카의 몇 안되는 선진국이며, 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전체 노동 인구의 30%가 관광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최근 정부는 호텔과 기타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외국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정부는 관광에 대한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농업, 어업과 소규모 제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셰이셸공화국에 등록된 암호화폐 거래소는 다음과 같다.

주민

아프리카의 몇 안되는 선진국이며, 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전체 노동 인구의 30%가 관광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최근 정부는 호텔과 기타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외국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정부는 관광에 대한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농업, 어업과 소규모 제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주민은 대부분이 이민(프랑스, 아프리카, 인도, 중국, 아랍인) 계통의 혼혈로, 크레올 (Creole) 인종이다.

공용어는 크레올어, 영어, 프랑스어이다. 세이셸은 영연방과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그러나 프랑스어는 명목적인 것이고, 정치 영역-특히, 선거-에서는 영어와 크레올어를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문해율은 약 92% 정도로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이는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은 문해율이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쿠바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지도


  의견.png 이 쿠바 문서는 국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