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카자흐스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jpg|썸네일|300픽셀|'''카자흐스탄''' 국기]]
 +
 +
'''카자흐스탄 공화국'''(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Казахстан, 영어: Republic of Kazakhstan), 약칭 '''카자흐스탄'''(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러시아어: Казахстан)은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 걸쳐 있는 공화국이다.
 +
 +
[[카자흐인]]이 국민의 다수를 차지한다.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국가로서 '중앙아시아의 거인'이라는 별명으로도 부른다. 북서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신장위구르자치구]]와 가깝다. 세계 최대의 호수 [[카스피해]]의 항구를 통해 [[아제르바이잔]], [[이란]]과도 가까이 이어진다. [[상하이 협력기구]]의 정회원국이며, [[독립국가연합]] 및 [[유라시아 연합]]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
 
== 지도 ==
 
== 지도 ==
 
{{카자흐스탄 행정 지도|800}}
 
{{카자흐스탄 행정 지도|800}}
 
{{지도|카자흐스탄}}
 
{{지도|카자흐스탄}}
  
{{국가|토막글}}
+
== 개요 ==
 +
* 수도: [[아스타나]]
 +
* 면적: 2,724,900km²
 +
* 인구: 18,994,958명(2021년)
 +
* 공용어: 카자흐어, 러시아어
 +
* 정치체제: 공화제, 단일 국가, 양원제, 대통령제
 +
*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
== 역사 ==
 +
===고대===
 +
카자흐스탄에는 구석기 때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이곳의 기후와 지형이 유목 생활에 안성맞춤이었기에 목축이 신석기 때 발전하였다.
 +
 
 +
기원전 500년경에는 [[스키타이]의 일부인 사카(saka) 부족이 [[알타이산]]과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방대한 스텝 초원을 지배하였다고 한다. 사카 부족의 인종은 유럽인에 가까워 이 시기의 카자흐스탄 영토에 살고있던 사람들은 [[유럽]]에 더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사카인들은 주변 지역으로 활발하게 진출해 아시리아와 이집트까지 침공하기도 했고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제가 사카인과의 전투에서 전사하기도 했다.
 +
 
 +
기원전 2세기에는 [[흉노]] 연맹이 [[몽골]] 초원에서 동부 카자흐스탄까지 확장하였으며, 이후 흉노와 연관성이 있는 [[에프탈족]]들이 남쪽과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서력기원 550년부터 750년까지 지금의 카자흐인의 선조격인 [[튀르크계]]가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본래 서쪽에서 온 백인의 인종적 특징을 많이 보였던 카자흐스탄 거주자들의 피에 동양인의 특징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
 
 +
카자흐스탄 지역은 [[비단길]]의 전신인 [[유라시아]]의 [[스텝 무역로]]의 중요한 곳이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지역의 방대한 스텝에서 인간이 최초로 말을 사육했다고 여긴다.
 +
 
 +
1218년부터 1221년까지 [[칭기즈 칸]]이 이 지역을 정복하였고 이후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등의 지배에 들어갔다.
 +
 
 +
카자흐족은 본래 킵차크 칸국에서 독립한 우즈벡 울루스에 속하던 사람들이었는데, 우즈벡 울루스의 지도자 아불 하이르 칸에 반대하여 뛰쳐나온 사람들이다. 이들이 3개의 칸국으로 나뉘게 되면서 300년간 다른 지방 호족들을 흡수하여 봉건화된 카자흐 국가를 이루었으며 이는 18세기까지 이어진다. 지금의 카자흐스탄 지역의 대부분은 카자흐 칸국이 통치했고 지금의 우즈벡 지역의 칸국이나 러시아 등과 대치했다.
 +
 
 +
===제정 러시아===
 +
19세기 말에 [[제정 러시아]]는 [[대영제국]]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주도권을 놓고 벌인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의 일환으로 [[시베리아]]에 행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군사기지를 구축하였다. 1735년에 첫 번째 러시아 기지인 [[오르스크]]가 건설되었으며 러시아는 1890년 보호국인 카자흐스탄의 모든 학교와 정부기관에서 러시아어만 사용할 것을 종용하였다. 이러한 일방적인 언어정책은 카자흐인들의 반발을 샀고 1897년에 들어서는 거의 대부분의 카자흐인들이 제정 러시아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섰다. 이는 언어정책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유목생활을 하던 카자흐인들의 삶의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기근, 수자원 분쟁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이다. 이 카자흐 민족운동은 러시아의 흡수정책에 대항하여 카자흐인들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는데 그 중점을 맞췄다.
 +
 
 +
1936년 이후 소련으로부터 많은 수의 러시아인들이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특히 세미레치에 지역에 살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민 현상은 제정 러시아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민국(Переселен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이 감독하고 장려하였다. 1940년까지 400,000명의 [[러시아인]]들이 카자흐스탄에 정착하였고 20세기에는 약 20만명의 [[독일인]], [[유대인]] 등이 카자흐스탄에 정착하였다.
 +
 
 +
1916년 '중앙아시아 반란(the Central Asian Revolt)'이라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제정 러시아와 땅과 수자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카자흐인들이 들고 일어나 러시아인들의 군사기지 등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양쪽 모두 상대방을 향한 학살행위가 있었으며, 이는 제정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에서 신뢰를 잃고 러시아 2월 혁명이 일어나 멸망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정 러시아가 공산 혁명에 의해 멸망하고 러시아 인민들은 해방되었고 1919년 러시아가 [[소련]]으로 대체되면서 카자흐인들은 반란을 멈추었다.
 +
 
 +
===카자흐 SSR===
 +
1920년, 이 지역에 [[키르기스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을 세웠다. 그 후, 1925년에 [[카자흐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이 성립되었고 1936년에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어 카자흐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이 되었다.
 +
 
 +
193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강제 집단 농장화하였고 공산화 이념을 따르는 카자흐 지도층들이 카자흐 국민들을 탄압하자 정책 실패가 일어나 카자흐스탄에 대규모 기아가 발생하였다. 1926년과 1939년 사이 카자흐 인구는 가뭄과 기아로 인해 22% 감소하였다. 1930년대부터는 고려인들이 시베리아와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송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이 [[독일]]과 전쟁할 때 카자흐스탄 국민들은 다섯 개의 군대를 구성하여 참전하였고 1947년에는 세미팔라틴스크(현재의 세메이)에 소련의 핵실험장이 개설되었다. 카자흐스탄은 1953년에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주도한 처녀지 개간 운동의 중심지였다.
 +
 
 +
===카자흐스탄 공화국===
 +
* 1990년 4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 1991년 12월 21일에 돌립국가연합에 가입하였다.
 +
* 1992년에는 국제연합에 가입하였다.
 +
* 1993년에는 헌법을 채택하고 1995년에 개정하였다.
 +
* 1998년 수도를 [[알마티]]에서 [[아스타나]]로 천도했다.
 +
* 2012년 1월 [[유라시아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
* 2019년 3월 20일 집권 29년 만에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자진 퇴임하였다. 그가 퇴임하면서 수도 아스타나는 그의 이름인 누르술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누르술탄의 퇴임 이후, 상원 의장을 지낸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가 2대 대통령으로 승계하였다.
 +
 
 +
== 경제 ==
 +
카자흐스탄은 제조업보다는 천연자원에 수출을 의존하고 있다. (수출의 90% 이상이 원유와 천연가스) 현재 1인당 GDP는 8,000달러 정도다. 천연자원 개발 등으로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다.
 +
 
 +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경제발전이 기대되는 국가로 손꼽힌다. [[세계은행]]은 카자흐스탄을 중앙아시아에서 IT발전분야에서 가장 앞섰다고 보고서를 발표했다.
 +
 
 +
===무역===
 +
2017년도 기준으로 카자흐스탄의 주요수출 상대국은 [[이탈리아]](17.93%), [[중국]](11.95%), [[네덜란드]](9.82%), [[러시아]](9.34%), [[스위스]](6.41) 순이고 총수출액은 48,342,074천 달러, 주요 수출 품목은 석유 및 석유제품이 26,584,364천 달러로 가장 높고 그뒤로 구리음극 2,003,658천 달러로 그뒤를 따랐다. 철과 크롬이 1,835,880천 달러, 그리고 천연가스가 1,554,520천 달러, 우라늄이 1,336,343천 달러이다.
 +
 
 +
2017년도 기준으로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입 상대국은 러시아(39.1%), 중국(15.99%), [[독일]](5.06%), [[미국]](4.27%), 이탈리아(3.22%) 순이고 총수입액은 29,345,935천 달러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가 1,023,055천 달러로 가장높고 그 뒤는 무선장치로 757,207천 달러, 의약품 549,828천 달러, 자동차 부품 345,731천 달러, 건설 장비가 330,217천 달러이다.
 +
 
 +
== 지리 ==
 +
동쪽은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남쪽은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은 [[투르크메니스탄]], 북쪽과 북서쪽은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접한다. 북서 일부는 [[아랄 해]]에 면한다.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세계에서 둘 밖에 없는 [[이중 내륙국]] 가운데 하나이다.
 +
 
 +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부에 위치한 나라이다. 이곳도 사막성 기후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곳이다. 아랄 해가 위치해 있지만, 소비에트 연방 때는 강을 개간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현재는 호수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여러 강들이 존재하며 "섬들의 바다"라는 뜻을 가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인 아랄해가 존재한다.
 +
 
 +
우즈베키스탄은 사막형 대륙성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국토의 대부분이 연중 매우 건조하며 대체로 길게 지속되는 여름은 건기로서 열대공기의 영향으로 매우 뜨겁고 건조하며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여름에는 하늘에서 비가 내리다가 미처 땅에 도달하기도 전에 말라버리는 마른비가 내린다. 반면 겨울에는 우기로 비와 눈이 자주 내리면서 비교적 습도가 높고 강수량이 적은 편이고 굉장히 춥다. 타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 기후의 특성을 잘 나타내준다.
 +
 
 +
== 행정 구역 ==
 +
우즈베키스탄은 12개의 주(viloyat)와 1개의 자치 공화국(avtonom respublikasi), 1개의 특별시(shahar)로 구성되어 있다.
 +
 
 +
:{|class=wikitable width=800
 +
|-
 +
!align=center|행정 구역
 +
!align=center|주도
 +
!align=center|면적 (km²)
 +
|-
 +
|align=center|[[안디잔 주]] (Andijon viloyati)
 +
|align=letf|[[안디잔]] (Andijon)
 +
|align=letf|4,200
 +
|-
 +
|align=letf|[[부하라 주]] (Buxoro viloyati)
 +
|align=letf|[[부하라]] (Buxoro)
 +
|align=letf|39,400
 +
|-
 +
|align=letfr|[[페르가나 주]] (Farg'ona viloyati)
 +
|align=letf|[[페르가나]] (Farg'ona)
 +
|align=letf|6,800
 +
|-
 +
|align=letf|[[지자흐 주]] (Jizzax viloyati)
 +
|align=letf|[[지자흐]] (Jizzax)
 +
|align=letf|20,500
 +
|-
 +
|align=letf|[[호레즘 주]] (Xorazm viloyati)
 +
|align=letf|[[우르겐치]] (Urganch)
 +
|align=letf|6,300
 +
|-
 +
|align=letf|[[나망간 주]] (Namangan viloyati)
 +
|align=letf|[[나망간]] (Namangan)
 +
|align=letf|7,900
 +
|-
 +
|align=letf|[[나보이 주]] (Navoiy viloyati)
 +
|align=letf|[[나보이]] (Navoiy)
 +
|align=letf|110,800
 +
|-
 +
|align=letf|[[카슈카다리야 주]] (Qashqadaryo viloyati)
 +
|align=letf|[[카르시]] (Qarshi)
 +
|align=letf|28,400
 +
|-
 +
|align=letf|[[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Qoraqalpog'iston Avtonom Respublikasi)
 +
|align=letf|[[누쿠스]] (Nukus)
 +
|align=letf|160,000
 +
|-
 +
|align=letf|[[사마르칸트 주]] (Samarqand viloyati)
 +
|align=letf|[[사마르칸트]] (Samarqand)
 +
|align=letf|16,400
 +
|-
 +
|align=letf|[[시르다리야 주]] (Sirdaryo viloyati)
 +
|align=letf|[[굴리스탄]] (Gulistion)
 +
|align=letf|5,100
 +
|-
 +
|align=letf|[[수르한다리야 주]] (Surxondaryo viloyati)
 +
|align=letf|테르메스 (Termez)
 +
|align=letf|20,800
 +
|-
 +
|align=letf|[[타슈켄트 주]] (Toshkent viloyati)
 +
|align=letf|[[타슈켄트]] (Toshkent)
 +
|align=letf|15,300
 +
|-
 +
|align=letf|[[타슈켄트 독립시]] (Toshkent shahri)
 +
|align=letf|[[타슈켄트]] (Toshkent)
 +
|align=letf|335
 +
|-
 +
|}
 +
 
 +
== 주민 ==
 +
우즈베키스탄 주민은 우즈베크족, 타지크족, 카자흐족, 러시아인, 카라칼팍족, 고려인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에 우즈베크족이 80%이상을 차지한다.
 +
 
 +
우즈베키스탄은 공식적으로 [[우즈벡어]]를 사용하며 우즈벡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우즈베크인 단일민족이 80%가 넘지만 고려인 등 소수 민족 간의 소통언어로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러시아어도 우즈베크어와 함께 우즈베키스탄에서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타슈켄트와 지방 도시들은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1991년 이후에 우즈베크어 사용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공용어에서 배제된 러시아어의 중요도는 예전보다 떨어졌다. 최근에는 우즈벡 정부의 우즈벡 문화를 중시하는 노선에 따라 거리의 대부분 간판이나 공식서류가 거의 우즈벡어로 되어 있으며 2004년부터는 100% 우즈벡어로만 공식 서류가 발행되고 있다.
 +
 
 +
하지만 러시아어는 고려인이나 다른 [[중앙아시아인]]들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중요한 언어이며, 특히 도시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또한 우즈베크인이라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만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 사업, 학술 등의 분야에서는 러시아어의 사용이 필수적인 경우도 많고 대부분의 대학교육에서 러시아어가 교수언어가 되고 있다. 2003년 보고에 의하면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절반 정도가 러시아어를 말하거나 또는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러시아어의 사용이 아직도 많은 편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도한 러시아어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정책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11] 또, 초등교육에서 수학언어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로 나뉘어 있으며, 대학진학이나 사업에서 다국어 사용은 유리하게 되기 때문에 우즈베크인이라도 교수언어로 러시아어를 선택하는 사람도 있다. 현재 우즈베크인들은 키릴 문자보다 로마자를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평상시 일상생활에서는 우즈베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영어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영어를 배우는 우즈베크인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
 
 +
== 경제 ==
 +
세계적인 천연가스 매장국이자 산유국이다. 더불어서, 면화 생산도 제정 [[러시아]]와 [[소련]] 치하에서 엄청나게 밀어준 덕에 세계적인 수준의 나라이며, 그 밖에 망간, 몰리브데넘, 아연, 구리 같은 광물자원들도 엄청나며, 게다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곳도 많다. 덕분에 수출량에 자원이 비중을 많이 차지하며 현재는 경제성장률 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업률도 매우 낮다.
 +
 
 +
포도와 멜론 같은 농작물 및 과일들도 많이 재배되는 편이며 농업도 발달해 물산이 풍부하다. 단, 밀의 자급자족이 되지 않아 [[카자흐스탄]]에서 많이 수입해오고 있다.
 +
 
 +
경제적으로 볼 때 [[중앙아시아]]에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한 것으로 나오지만 이건 수치상으로만 그렇고 아직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지는 못하였다. 정부가 바뀌고 나서야 개방 정책으로 고도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많은 가스와 자원으로 경제성장을 한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보다는 국민소득은 다소 낮은 편인데다가 독재정치로 인한 부정부패로 막대한 돈이 되는 분야를 일부가 독점하던 때가 있어서 빈부격차에 시달렸다.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불만을 억제하기 위해 식자재 가격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유지하고 있다.
 +
 
 +
== 참고자료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6%88%EB%B2%A0%ED%82%A4%EC%8A%A4%ED%83%84 우즈베키스탄]〉,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A6%88%EB%B2%A0%ED%82%A4%EC%8A%A4%ED%83%84%EC%9D%98_%EC%97%AD%EC%82%AC 우즈베키스탄 역사]〉, 《위키백과》
 +
* 〈[https://namu.wiki/w/%EC%9A%B0%EC%A6%88%EB%B2%A0%ED%82%A4%EC%8A%A4%ED%83%84 우즈베키스탄]〉, 《나무위키》
 +
* 〈[https://namu.wiki/w/%EC%9A%B0%EC%A6%88%EB%B2%A0%ED%82%A4%EC%8A%A4%ED%83%84/%EC%97%AD%EC%82%AC 우즈베키스탄/역사]〉, 《나무위키》
 +
 
 +
== 같이 보기 ==
 +
* [[중앙아시아]]
 +
* [[소련]]
 +
* [[타슈켄트]]
 +
* [[러시아]]
 +
* [[카자흐스탄]]
 +
 
 +
{{국가|검토 필요}}
 +
[[분류:아시아]]

2022년 11월 9일 (수) 12:18 판

카자흐스탄 국기

카자흐스탄 공화국(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Казахстан, 영어: Republic of Kazakhstan), 약칭 카자흐스탄(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러시아어: Казахстан)은 중앙아시아동유럽에 걸쳐 있는 공화국이다.

카자흐인이 국민의 다수를 차지한다.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국가로서 '중앙아시아의 거인'이라는 별명으로도 부른다. 북서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신장위구르자치구와 가깝다. 세계 최대의 호수 카스피해의 항구를 통해 아제르바이잔, 이란과도 가까이 이어진다. 상하이 협력기구의 정회원국이며, 독립국가연합유라시아 연합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지도

개요

  • 수도: 아스타나
  • 면적: 2,724,900km²
  • 인구: 18,994,958명(2021년)
  • 공용어: 카자흐어, 러시아어
  • 정치체제: 공화제, 단일 국가, 양원제, 대통령제
  •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역사

고대

카자흐스탄에는 구석기 때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이곳의 기후와 지형이 유목 생활에 안성맞춤이었기에 목축이 신석기 때 발전하였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스키타이]의 일부인 사카(saka) 부족이 알타이산우크라이나에 이르는 방대한 스텝 초원을 지배하였다고 한다. 사카 부족의 인종은 유럽인에 가까워 이 시기의 카자흐스탄 영토에 살고있던 사람들은 유럽에 더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사카인들은 주변 지역으로 활발하게 진출해 아시리아와 이집트까지 침공하기도 했고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키루스 대제가 사카인과의 전투에서 전사하기도 했다.

기원전 2세기에는 흉노 연맹이 몽골 초원에서 동부 카자흐스탄까지 확장하였으며, 이후 흉노와 연관성이 있는 에프탈족들이 남쪽과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서력기원 550년부터 750년까지 지금의 카자흐인의 선조격인 튀르크계가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본래 서쪽에서 온 백인의 인종적 특징을 많이 보였던 카자흐스탄 거주자들의 피에 동양인의 특징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카자흐스탄 지역은 비단길의 전신인 유라시아스텝 무역로의 중요한 곳이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지역의 방대한 스텝에서 인간이 최초로 말을 사육했다고 여긴다.

1218년부터 1221년까지 칭기즈 칸이 이 지역을 정복하였고 이후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등의 지배에 들어갔다.

카자흐족은 본래 킵차크 칸국에서 독립한 우즈벡 울루스에 속하던 사람들이었는데, 우즈벡 울루스의 지도자 아불 하이르 칸에 반대하여 뛰쳐나온 사람들이다. 이들이 3개의 칸국으로 나뉘게 되면서 300년간 다른 지방 호족들을 흡수하여 봉건화된 카자흐 국가를 이루었으며 이는 18세기까지 이어진다. 지금의 카자흐스탄 지역의 대부분은 카자흐 칸국이 통치했고 지금의 우즈벡 지역의 칸국이나 러시아 등과 대치했다.

제정 러시아

19세기 말에 제정 러시아대영제국아프가니스탄에서의 주도권을 놓고 벌인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의 일환으로 시베리아에 행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군사기지를 구축하였다. 1735년에 첫 번째 러시아 기지인 오르스크가 건설되었으며 러시아는 1890년 보호국인 카자흐스탄의 모든 학교와 정부기관에서 러시아어만 사용할 것을 종용하였다. 이러한 일방적인 언어정책은 카자흐인들의 반발을 샀고 1897년에 들어서는 거의 대부분의 카자흐인들이 제정 러시아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섰다. 이는 언어정책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유목생활을 하던 카자흐인들의 삶의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기근, 수자원 분쟁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이다. 이 카자흐 민족운동은 러시아의 흡수정책에 대항하여 카자흐인들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는데 그 중점을 맞췄다.

1936년 이후 소련으로부터 많은 수의 러시아인들이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특히 세미레치에 지역에 살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민 현상은 제정 러시아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민국(Переселен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이 감독하고 장려하였다. 1940년까지 400,000명의 러시아인들이 카자흐스탄에 정착하였고 20세기에는 약 20만명의 독일인, 유대인 등이 카자흐스탄에 정착하였다.

1916년 '중앙아시아 반란(the Central Asian Revolt)'이라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제정 러시아와 땅과 수자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카자흐인들이 들고 일어나 러시아인들의 군사기지 등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양쪽 모두 상대방을 향한 학살행위가 있었으며, 이는 제정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에서 신뢰를 잃고 러시아 2월 혁명이 일어나 멸망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정 러시아가 공산 혁명에 의해 멸망하고 러시아 인민들은 해방되었고 1919년 러시아가 소련으로 대체되면서 카자흐인들은 반란을 멈추었다.

카자흐 SSR

1920년, 이 지역에 키르기스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을 세웠다. 그 후, 1925년에 카자흐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이 성립되었고 1936년에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어 카자흐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이 되었다.

193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강제 집단 농장화하였고 공산화 이념을 따르는 카자흐 지도층들이 카자흐 국민들을 탄압하자 정책 실패가 일어나 카자흐스탄에 대규모 기아가 발생하였다. 1926년과 1939년 사이 카자흐 인구는 가뭄과 기아로 인해 22% 감소하였다. 1930년대부터는 고려인들이 시베리아와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송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독일과 전쟁할 때 카자흐스탄 국민들은 다섯 개의 군대를 구성하여 참전하였고 1947년에는 세미팔라틴스크(현재의 세메이)에 소련의 핵실험장이 개설되었다. 카자흐스탄은 1953년에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주도한 처녀지 개간 운동의 중심지였다.

카자흐스탄 공화국

  • 1990년 4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1991년 12월 21일에 돌립국가연합에 가입하였다.
  • 1992년에는 국제연합에 가입하였다.
  • 1993년에는 헌법을 채택하고 1995년에 개정하였다.
  • 1998년 수도를 알마티에서 아스타나로 천도했다.
  • 2012년 1월 유라시아 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 2019년 3월 20일 집권 29년 만에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자진 퇴임하였다. 그가 퇴임하면서 수도 아스타나는 그의 이름인 누르술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누르술탄의 퇴임 이후, 상원 의장을 지낸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가 2대 대통령으로 승계하였다.

경제

카자흐스탄은 제조업보다는 천연자원에 수출을 의존하고 있다. (수출의 90% 이상이 원유와 천연가스) 현재 1인당 GDP는 8,000달러 정도다. 천연자원 개발 등으로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경제발전이 기대되는 국가로 손꼽힌다. 세계은행은 카자흐스탄을 중앙아시아에서 IT발전분야에서 가장 앞섰다고 보고서를 발표했다.

무역

2017년도 기준으로 카자흐스탄의 주요수출 상대국은 이탈리아(17.93%), 중국(11.95%), 네덜란드(9.82%), 러시아(9.34%), 스위스(6.41) 순이고 총수출액은 48,342,074천 달러, 주요 수출 품목은 석유 및 석유제품이 26,584,364천 달러로 가장 높고 그뒤로 구리음극 2,003,658천 달러로 그뒤를 따랐다. 철과 크롬이 1,835,880천 달러, 그리고 천연가스가 1,554,520천 달러, 우라늄이 1,336,343천 달러이다.

2017년도 기준으로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입 상대국은 러시아(39.1%), 중국(15.99%), 독일(5.06%), 미국(4.27%), 이탈리아(3.22%) 순이고 총수입액은 29,345,935천 달러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석유가 1,023,055천 달러로 가장높고 그 뒤는 무선장치로 757,207천 달러, 의약품 549,828천 달러, 자동차 부품 345,731천 달러, 건설 장비가 330,217천 달러이다.

지리

동쪽은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남쪽은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은 투르크메니스탄, 북쪽과 북서쪽은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접한다. 북서 일부는 아랄 해에 면한다.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세계에서 둘 밖에 없는 이중 내륙국 가운데 하나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부에 위치한 나라이다. 이곳도 사막성 기후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곳이다. 아랄 해가 위치해 있지만, 소비에트 연방 때는 강을 개간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현재는 호수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여러 강들이 존재하며 "섬들의 바다"라는 뜻을 가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인 아랄해가 존재한다.

우즈베키스탄은 사막형 대륙성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국토의 대부분이 연중 매우 건조하며 대체로 길게 지속되는 여름은 건기로서 열대공기의 영향으로 매우 뜨겁고 건조하며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여름에는 하늘에서 비가 내리다가 미처 땅에 도달하기도 전에 말라버리는 마른비가 내린다. 반면 겨울에는 우기로 비와 눈이 자주 내리면서 비교적 습도가 높고 강수량이 적은 편이고 굉장히 춥다. 타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 기후의 특성을 잘 나타내준다.

행정 구역

우즈베키스탄은 12개의 주(viloyat)와 1개의 자치 공화국(avtonom respublikasi), 1개의 특별시(shahar)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 주도 면적 (km²)
안디잔 주 (Andijon viloyati) 안디잔 (Andijon) 4,200
부하라 주 (Buxoro viloyati) 부하라 (Buxoro) 39,400
페르가나 주 (Farg'ona viloyati) 페르가나 (Farg'ona) 6,800
지자흐 주 (Jizzax viloyati) 지자흐 (Jizzax) 20,500
호레즘 주 (Xorazm viloyati) 우르겐치 (Urganch) 6,300
나망간 주 (Namangan viloyati) 나망간 (Namangan) 7,900
나보이 주 (Navoiy viloyati) 나보이 (Navoiy) 110,800
카슈카다리야 주 (Qashqadaryo viloyati) 카르시 (Qarshi) 28,400
카라칼파크스탄 자치공화국(Qoraqalpog'iston Avtonom Respublikasi) 누쿠스 (Nukus) 160,000
사마르칸트 주 (Samarqand viloyati) 사마르칸트 (Samarqand) 16,400
시르다리야 주 (Sirdaryo viloyati) 굴리스탄 (Gulistion) 5,100
수르한다리야 주 (Surxondaryo viloyati) 테르메스 (Termez) 20,800
타슈켄트 주 (Toshkent viloyati) 타슈켄트 (Toshkent) 15,300
타슈켄트 독립시 (Toshkent shahri) 타슈켄트 (Toshkent) 335

주민

우즈베키스탄 주민은 우즈베크족, 타지크족, 카자흐족, 러시아인, 카라칼팍족, 고려인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에 우즈베크족이 80%이상을 차지한다.

우즈베키스탄은 공식적으로 우즈벡어를 사용하며 우즈벡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우즈베크인 단일민족이 80%가 넘지만 고려인 등 소수 민족 간의 소통언어로는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러시아어도 우즈베크어와 함께 우즈베키스탄에서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타슈켄트와 지방 도시들은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1991년 이후에 우즈베크어 사용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공용어에서 배제된 러시아어의 중요도는 예전보다 떨어졌다. 최근에는 우즈벡 정부의 우즈벡 문화를 중시하는 노선에 따라 거리의 대부분 간판이나 공식서류가 거의 우즈벡어로 되어 있으며 2004년부터는 100% 우즈벡어로만 공식 서류가 발행되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어는 고려인이나 다른 중앙아시아인들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중요한 언어이며, 특히 도시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또한 우즈베크인이라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만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 사업, 학술 등의 분야에서는 러시아어의 사용이 필수적인 경우도 많고 대부분의 대학교육에서 러시아어가 교수언어가 되고 있다. 2003년 보고에 의하면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절반 정도가 러시아어를 말하거나 또는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러시아어의 사용이 아직도 많은 편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도한 러시아어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정책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11] 또, 초등교육에서 수학언어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로 나뉘어 있으며, 대학진학이나 사업에서 다국어 사용은 유리하게 되기 때문에 우즈베크인이라도 교수언어로 러시아어를 선택하는 사람도 있다. 현재 우즈베크인들은 키릴 문자보다 로마자를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평상시 일상생활에서는 우즈베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영어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영어를 배우는 우즈베크인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경제

세계적인 천연가스 매장국이자 산유국이다. 더불어서, 면화 생산도 제정 러시아소련 치하에서 엄청나게 밀어준 덕에 세계적인 수준의 나라이며, 그 밖에 망간, 몰리브데넘, 아연, 구리 같은 광물자원들도 엄청나며, 게다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곳도 많다. 덕분에 수출량에 자원이 비중을 많이 차지하며 현재는 경제성장률 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업률도 매우 낮다.

포도와 멜론 같은 농작물 및 과일들도 많이 재배되는 편이며 농업도 발달해 물산이 풍부하다. 단, 밀의 자급자족이 되지 않아 카자흐스탄에서 많이 수입해오고 있다.

경제적으로 볼 때 중앙아시아에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한 것으로 나오지만 이건 수치상으로만 그렇고 아직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지는 못하였다. 정부가 바뀌고 나서야 개방 정책으로 고도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많은 가스와 자원으로 경제성장을 한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보다는 국민소득은 다소 낮은 편인데다가 독재정치로 인한 부정부패로 막대한 돈이 되는 분야를 일부가 독점하던 때가 있어서 빈부격차에 시달렸다.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불만을 억제하기 위해 식자재 가격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유지하고 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카자흐스탄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