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김태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모파스(MoFAS) 구축===
 
2018년 8월 김태순 대표는 [[김성기]] 기술이사와 [[블록체인]] 기반 보안 플랫폼인 [[모파스]]를 구축<ref name="이뉴스투데이"></ref>
 
했다. 김태순 대표는 그동안 군(軍)과 기업, 공공기관의 인터넷 보안 컨설팅과 교육을 진행했으며, 보안 솔루션 개발과 공급도 진행하고 있다. [[모파스]]는 실생활에 사용가능한 안전한 스마트 컨트랙스와 디앱을 위한 방어 보상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개발 외에도 보안 서비스, 인증 컨설팅 등 블록체인과 정보보안을 결합한 다양한 분야의 사업도 전개 중이다. 김태순 대표는 모파스는 블록체인 기술이 지닌 [[탈중앙화]] 이념을 바탕으로 기존 안티바이러스 탐지기술과 패러다임에 변화를 꾀했으며 [[블랙해커]]의 놀이터가 된 인터넷 환경에서 반대로 [[화이트해커]]에게 보상을 줌으로써 보다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모파스]]를 설계하게 됐다고 한다.<ref>박명진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113591 방어보상형 블록체인 '모파스', 보안플랫폼 메카로 등장]〉, 《아이뉴스24》, 2018-07-31</ref>
 
[[모파스]]는 기존 보안제품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존 P2P 네트워크를 통한 해커들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으며<ref>정종길 기자,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88802 해커스랩, '비트포럼 2018'서 해킹방어보상형 블록체인 플랫폼 '모파스' 선봬]〉, 《아이티데일리》, 2018-04-25</ref>
 
금융권에 보급하기 위한 보안에 최적화된 플랫폼이고 [[모파스]] 안에 들어왔을 때 해킹 문제가 없으며 처리속도를 높여 원하는 디앱들을 만들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다. 김태순 대표는 [[코인]]을 준다는 건 보상체계를 준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f name="이뉴스투데이"></ref>
 
모파스는 2017년 9월 블록체인 보안 연구개발을 위한 별도의 R&D 센터를 개설하였고, 본격적인 모파스(MoFAS) 플랫폼을 구축해 전세계 보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자세히|모파스}}
 
  
 
==향후 계획==
 
==향후 계획==

2019년 5월 30일 (목) 00:42 판

주요 활동

향후 계획

김태순 대표는 수준 높은 정보보안 기술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시장 맞춤형 정보보안 전문가 양성을 추진하고 상호 간 정보와 지식도 교류해 국내·외 보안 생태계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며 2018년 11월에는 영국의 블록체인 기반 광고 플랫폼인 비두(Bidooh)와 업무 협약을 맺었으며, 이를 통해 기술 협력과 마케팅, 보안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1] 또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모든 프로세스를 감시해 시스템을 항상 원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보안 플랫폼인 발렉스(VALX)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한다. 김태순 대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 발전과 함께 사물인터넷 해킹 위험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모파스는 이에 대비해 보안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빠른 속도가 적용되는 블록체인과 디앱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했다.[2]

각주

  1. 김수현 기자, 〈모파스(MoFAS), 글로벌 거래소 아이닥스(IDAX)에서 상장 계약 체결〉, 《베타뉴스》, 2018-11-28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A.B8.80.EB.A1.9C.EB.B2.8Cceo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김태순 문서는 암호화폐 창시자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