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의견.png

"우즈베키스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은 [[중앙아시아]] 중부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정식 명칭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Republic of Uzbekistan)으로, 독립국가연합(CIS)을 구성한 공화국의 하나이다. 줄여서 '''우즈벡'''이라고도 한다. 수도는 '''[[타슈켄트]]'''(Tashkent)이다.
+
'''우즈베키스탄'''(우즈베크어: Oʻzbekiston, Ўзбекистон,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영어: Uzbekistan)은 [[중앙아시아]] 중부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정식 명칭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우즈베크어: Oʻzbekiston Respublikasi, Ўзбекистон Республикаси,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영어: Republic of Uzbekistan)으로, [[독립국가연합]](CIS)을 구성한 공화국의 하나이다. 줄여서 '''우즈벡'''이라고도 한다. 수도는 '''[[타슈켄트]]'''(Tashkent)이다.
 +
 
 +
우즈베키스탄의 어원은 직역하면 "우즈"(Oʻz)는 "우리들의"이라는 뜻이며 "벡, 베크"는 투르크어로 왕이라는 뜻으로 "우리들의 왕"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스탄"은 영어 "State"와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로 "지역", "땅"이라는 뜻이다. 우즈베크란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세운 왕이 있다는 뜻으로 독립적인 민족이라는 뜻이다.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jpg|썸네일|300픽셀|'''우즈베키스탄''' 국기]]
  
 
== 지도 ==
 
== 지도 ==
5번째 줄: 9번째 줄:
 
{{지도|우즈베키스탄}}
 
{{지도|우즈베키스탄}}
  
 +
== 개요 ==
 +
* 수도: [[타슈켄트]]
 +
* 면적: 448,978km²
 +
* 인구: 34,532,162명(2022년)
 +
* 공용어: 우즈베크어, 카라칼파크어
 +
* 정치체제: 공화제, 단일 국가, 대통령제, 양원제
 +
* 대통령: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
 +
== 역사 ==
 +
기원전 3600년전 최초 인도-유럽어족 청동기 문명인 [[얌나야 문화]]에서부터 [[중앙아시아]]에 [[아파나시에보 문화]](Afanasevo culture)가 나타났으며 기원전 2500년 [[안드로노보 문화]](Andronovo culture)가 나타났다.
 +
 +
===고대==
 +
중앙아시아를 차지한 최초의 민족은 기원전 600년 경 현재의 [[카자흐스탄]] 지역의 북부 초원지대에서 들어온 [[이란계]] 유목민들이었다. 이란 방언을 사용한 이 유목민들은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여 이 지역의 강을 따라 드넓은 관개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당시 [[부하라]]와 [[사마르칸트]] 등의 도시들이 정부와 문화의 중심지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5세기까지 [[박트리아]], [[소그디아나]], [[토하라인]] 국가들은 이 지역을 지배하였다. [[실크로드]]을 통하여 비단 무역을 시작하면서 고대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무역의 중심지가 됨으로써 이 상업의 이득을 챙겼다. 중앙아시아의 도시와 정착지들의 광활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소그디아나의 중개인들은 가장 부유한 상인이 되었다. 이 실크로드의 무역을 통해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는 부유한 도시들이 되었고 당시 중앙아시아는 가장 풍요롭고 강력한 지역의 하나가 되었다.
 +
 +
[[유럽]]으로 진출하여 [[게르만족]]인 [[동고트족]]을 정복한 [[훈족]]은 중앙아시아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앙아시아의 [[아리안인]]들은 4세기에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사바르 카간국]]이 유럽으로 진출하여 [[비잔틴]]과 대립하거나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사바르는 [[발라크]](Balak)왕의 통치하에 부국강병을 이루고 [[사산조]]와 협력하여 516년에는 비잔틴을 공격하였다. 비잔틴의 [[프로코피우스]]는 "사바르는 사람의 역사 이래 상상할 수 없는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란]]과 [[로마]]가 가진 무기들도 이 무기에 비하면 보잘 것 없다" 라고 사바르인의 우수성에 대해 말하였다. 5세기에는 다시 중앙아시아 사람들이 유럽으로 진출하고 [[아바르 카간국]]은 [[슬라브인]]들을 정복하고 비잔틴 왕국과 대결을 하였다. 7~8세기에 중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진출한 [[하자르 카간국]]은 모든 서, 남, 동 슬라브인들을 휘하에 두게 되고 하자르 카간국은 루스인들이 루스인의 최초 국가인 [[루스 카간국]]을 세우는데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중앙아시아의 투르크인들은 [[볼가 강]](Volga River)을 건너 중동으로 진출하여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중세에는 [[오스만 투르크 제국]]을 건설하였다.
 +
 +
투르크계인 우즈베크인들은 15세기부터 우즈베키스탄으로 이동하였다. 16세기 초, [[무함마드 샤이바니]] 때에 크게 팽창하여 [[카자흐족]]과 [[모굴리스탄 칸국]]을 격파하고 [[티무르 왕조]]를 멸망시켜 트란스옥시아나(현 우즈베키스탄 일대)를 장악했으며 [[호라산]] 일대까지 진출했다. 1510년, [[샤이바니 칸]]이 [[사파비 왕조와]]의 마르브 전투에서 패하여 영토 확장이 중단된 이후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 일대에 정착하여 [[안나프루]]에는 [[부하라 칸국]], [[호라즘]]에는 [[히바 칸국]]을 세웠으며 [[페르가나]]에는 [[코칸트 칸국]]이 건국되어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코칸드 칸국의 우즈베크의 세 칸국이 건국되었다. 1920년에 소련에 합병되어 소련 연방에 있었다. 우즈베키스탄은 1991년 8월 31일에 독립 선언과 함께 독립하였고 독립국가연합(CIS)에 가입하였다.
 +
 +
===근대===
 +
== 지리 ==
 +
전체 면적은 1,284,000 km2이며 세계에서 21번째로 큰 나라이다. [[페루]]보다 조금 작으며 [[남아공]]보다는 약간 큰 수준이다. 차드는 중앙 아프리카에 위치하였으며 북쪽은 [[리비아]], 서쪽은 [[니제르]]와 [[나이지리아]], 남쪽은 [[카메룬]]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동쪽은 [[수단 (국가)|수단]]과 이어져 있다. 차드는 아프리카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오랜 내전과 부정부패로 인해 "아프리카의 죽은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
식민 지배의 잔해로 차드의 국경선은 자연적인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동쪽과 남쪽은 산맥지대로서 북쪽의 분지와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차드 호(수면 면적 1만 6,000km2)는 자국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330,000 km²의 수량을 담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이다. 차드에서 가장 높은 산은 휴화산인 [[티베스티 산]]이며 [[사하라 사막]] 전체를 통틀어서도 가장 높은 산지이다.
 +
 +
== 기후 ==
 +
매년 열대 기후가 나타나는데 차드의 남북 전체에 나타나며 5월에서 10월 동안 우기이다. 북쪽 사헬 지대에서는 6월에서 9월만 우기 지대에 해당하다. 지역적 강우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세 지형을 나눈다. 사하라 사막은 북쪽 끝부분에 있는데 연간 강수량이 50mm 미만이다. 사실 이 지역이 사하라 사막 내에서도 가장 더운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의 생물군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가끔 가다 종려나무만이 듬성듬성 살아남아 있을 뿐이다.
 +
 +
사하라 사막 일대의 영향이 차드 중심부까지 미치며 이 일대의 강수량이 300~600mm 정도이다. 사헬 지대가 나타나며 여러 관목 지대와 함께 스텝 기후가 나타나고 남쪽으로 가면 사바나 기후가 나타난다. 이 지대의 강수는 900mm 이상에 달한다. 키가 큰 관목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새와 파충류, 큰 포유류가 많이 나타난다. 차드의 가장 큰 강은 차리 강이며 여러 강의 지류도 나타난다.
 +
 +
== 주민 ==
 +
주민은 200개 이상의 부족으로 나뉜다. 크게 나누면 북부·중부의 이슬람교 중심의 부족과 남부의 비이슬람교 중심의 부족으로 나눌 수 있다. 문맹률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
 +
북부에는 아랍인과 아프리카 부족 토우보우 족이 살고 있으며, 남부는 여러 아프리카 종족들이 차지하며 최남단에는 사라 족이 살고 있다.
 +
 +
공용어는 프랑스어와 아랍어다. 그 외에도 현지어로 남부의 사라어 등 12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차드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
 +
== 지도 ==
 +
{{지도|차드}}
 +
 +
== 참고자료 ==
 +
* 〈[https://ko.wikipedia.org/wiki/%EC%B0%A8%EB%93%9C 차드]〉, 《위키백과》
 +
* 〈[https://namu.wiki/w/%EC%B0%A8%EB%93%9C 차드]〉, 《나무위키》
 +
 +
== 같이 보기 ==
 +
* [[은자메나]]
 +
* [[중앙아프리카]]
 +
 +
{{국가|검토 필요}}
 +
[[분류:아프리카]]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타슈켄트]]
 
* [[타슈켄트]]

2022년 11월 2일 (수) 10:32 판

우즈베키스탄(우즈베크어: Oʻzbekiston, Ўзбекистон,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영어: Uzbekistan)은 중앙아시아 중부에 있는 내륙 국가이다. 정식 명칭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우즈베크어: Oʻzbekiston Respublikasi, Ўзбекистон Республикаси,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영어: Republic of Uzbekistan)으로, 독립국가연합(CIS)을 구성한 공화국의 하나이다. 줄여서 우즈벡이라고도 한다. 수도는 타슈켄트(Tashkent)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어원은 직역하면 "우즈"(Oʻz)는 "우리들의"이라는 뜻이며 "벡, 베크"는 투르크어로 왕이라는 뜻으로 "우리들의 왕"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스탄"은 영어 "State"와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로 "지역", "땅"이라는 뜻이다. 우즈베크란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세운 왕이 있다는 뜻으로 독립적인 민족이라는 뜻이다.

우즈베키스탄 국기

지도

개요

  • 수도: 타슈켄트
  • 면적: 448,978km²
  • 인구: 34,532,162명(2022년)
  • 공용어: 우즈베크어, 카라칼파크어
  • 정치체제: 공화제, 단일 국가, 대통령제, 양원제
  • 대통령: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역사

기원전 3600년전 최초 인도-유럽어족 청동기 문명인 얌나야 문화에서부터 중앙아시아아파나시에보 문화(Afanasevo culture)가 나타났으며 기원전 2500년 안드로노보 문화(Andronovo culture)가 나타났다.

=고대

중앙아시아를 차지한 최초의 민족은 기원전 600년 경 현재의 카자흐스탄 지역의 북부 초원지대에서 들어온 이란계 유목민들이었다. 이란 방언을 사용한 이 유목민들은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여 이 지역의 강을 따라 드넓은 관개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당시 부하라사마르칸트 등의 도시들이 정부와 문화의 중심지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5세기까지 박트리아, 소그디아나, 토하라인 국가들은 이 지역을 지배하였다. 실크로드을 통하여 비단 무역을 시작하면서 고대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무역의 중심지가 됨으로써 이 상업의 이득을 챙겼다. 중앙아시아의 도시와 정착지들의 광활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소그디아나의 중개인들은 가장 부유한 상인이 되었다. 이 실크로드의 무역을 통해 부하라와 사마르칸트는 부유한 도시들이 되었고 당시 중앙아시아는 가장 풍요롭고 강력한 지역의 하나가 되었다.

유럽으로 진출하여 게르만족동고트족을 정복한 훈족은 중앙아시아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앙아시아의 아리안인들은 4세기에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사바르 카간국이 유럽으로 진출하여 비잔틴과 대립하거나 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사바르는 발라크(Balak)왕의 통치하에 부국강병을 이루고 사산조와 협력하여 516년에는 비잔틴을 공격하였다. 비잔틴의 프로코피우스는 "사바르는 사람의 역사 이래 상상할 수 없는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란로마가 가진 무기들도 이 무기에 비하면 보잘 것 없다" 라고 사바르인의 우수성에 대해 말하였다. 5세기에는 다시 중앙아시아 사람들이 유럽으로 진출하고 아바르 카간국슬라브인들을 정복하고 비잔틴 왕국과 대결을 하였다. 7~8세기에 중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진출한 하자르 카간국은 모든 서, 남, 동 슬라브인들을 휘하에 두게 되고 하자르 카간국은 루스인들이 루스인의 최초 국가인 루스 카간국을 세우는데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중앙아시아의 투르크인들은 볼가 강(Volga River)을 건너 중동으로 진출하여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셀주크 투르크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중세에는 오스만 투르크 제국을 건설하였다.

투르크계인 우즈베크인들은 15세기부터 우즈베키스탄으로 이동하였다. 16세기 초, 무함마드 샤이바니 때에 크게 팽창하여 카자흐족모굴리스탄 칸국을 격파하고 티무르 왕조를 멸망시켜 트란스옥시아나(현 우즈베키스탄 일대)를 장악했으며 호라산 일대까지 진출했다. 1510년, 샤이바니 칸사파비 왕조와의 마르브 전투에서 패하여 영토 확장이 중단된 이후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 일대에 정착하여 안나프루에는 부하라 칸국, 호라즘에는 히바 칸국을 세웠으며 페르가나에는 코칸트 칸국이 건국되어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코칸드 칸국의 우즈베크의 세 칸국이 건국되었다. 1920년에 소련에 합병되어 소련 연방에 있었다. 우즈베키스탄은 1991년 8월 31일에 독립 선언과 함께 독립하였고 독립국가연합(CIS)에 가입하였다.

근대

지리

전체 면적은 1,284,000 km2이며 세계에서 21번째로 큰 나라이다. 페루보다 조금 작으며 남아공보다는 약간 큰 수준이다. 차드는 중앙 아프리카에 위치하였으며 북쪽은 리비아, 서쪽은 니제르나이지리아, 남쪽은 카메룬중앙아프리카공화국, 동쪽은 수단과 이어져 있다. 차드는 아프리카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오랜 내전과 부정부패로 인해 "아프리카의 죽은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식민 지배의 잔해로 차드의 국경선은 자연적인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동쪽과 남쪽은 산맥지대로서 북쪽의 분지와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차드 호(수면 면적 1만 6,000km2)는 자국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330,000 km²의 수량을 담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이다. 차드에서 가장 높은 산은 휴화산인 티베스티 산이며 사하라 사막 전체를 통틀어서도 가장 높은 산지이다.

기후

매년 열대 기후가 나타나는데 차드의 남북 전체에 나타나며 5월에서 10월 동안 우기이다. 북쪽 사헬 지대에서는 6월에서 9월만 우기 지대에 해당하다. 지역적 강우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세 지형을 나눈다. 사하라 사막은 북쪽 끝부분에 있는데 연간 강수량이 50mm 미만이다. 사실 이 지역이 사하라 사막 내에서도 가장 더운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의 생물군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가끔 가다 종려나무만이 듬성듬성 살아남아 있을 뿐이다.

사하라 사막 일대의 영향이 차드 중심부까지 미치며 이 일대의 강수량이 300~600mm 정도이다. 사헬 지대가 나타나며 여러 관목 지대와 함께 스텝 기후가 나타나고 남쪽으로 가면 사바나 기후가 나타난다. 이 지대의 강수는 900mm 이상에 달한다. 키가 큰 관목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새와 파충류, 큰 포유류가 많이 나타난다. 차드의 가장 큰 강은 차리 강이며 여러 강의 지류도 나타난다.

주민

주민은 200개 이상의 부족으로 나뉜다. 크게 나누면 북부·중부의 이슬람교 중심의 부족과 남부의 비이슬람교 중심의 부족으로 나눌 수 있다. 문맹률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북부에는 아랍인과 아프리카 부족 토우보우 족이 살고 있으며, 남부는 여러 아프리카 종족들이 차지하며 최남단에는 사라 족이 살고 있다.

공용어는 프랑스어와 아랍어다. 그 외에도 현지어로 남부의 사라어 등 12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차드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지도

참고자료

  • 차드〉, 《위키백과》
  • 차드〉, 《나무위키》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우즈베키스탄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우즈베키스탄 문서는 국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