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시리아(아랍어: السورية , 영어: Syria 시리야)는 서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다. 수도는 다마스커스이다. 북쪽으로는 터키, 동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으로는 요르단 및 이스라엘, 서쪽으로는 레바논과 접한다. 현재 시리아 내전이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2011년 8월 20일부터 2021년 7월 31일까지 여행 금지령이 내려졌다.
개요
- 수도: 다마스커스
- 면적: 185,180 km2
- 인구: 17,500,657 명 (2020년)
- 공용어: 영어
- 정치체제: 공화제, 일당우위정당제, 이원집정부제, 단일제
-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
역사
고대
메소포타미아 등 고대 문명들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으며 페르시아의 멸망 이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뒤에 그의 부하인 셀레우코스 1세에 의해 안티오키아를 수도로 하는 셀레우코스(셀루키드) 왕조가 건설되었다. 이후에 왕조는 번영하였으나 파르티아, 이집트 등과의 계속된 전쟁으로 몰락해 버렸고 기원전 64년 로마 제국의 장군 폼페이우스가 안티오키아를 점령함에 따라 로마 제국에 귀속되었다. 그 후에도 시리아는 동방 속주의 중심지로 크게 번영하였으며 그 수도인 안티오키아는 속주시리아의 수도로서 외항 셀레우키아를 통한 외부와의 교역으로 크게 번영하였다. 로마의 동방 군단이 주둔하고 있었으며 가상의 적국인 파르티아를 견제하는 기지였다.
이후 기독교가 크게 전파되면서 안티오키아가 터키(한글성경에는 아시아로 번역)교회 대주교의 소재지가 되었다. 4세기 말, 로마의 동서분열로 시리아는 동로마제국의 영토가 되었으나 제국이 쇠퇴하면서 이슬람 제국의 속국이 되었다. 시리아의 중심지인 다마스커스는 우마위야 왕조시대 왕국의 수도로서 크게 번영하였다.
1260년 몽골 제국 군대에 점령되었으나 맘루크의 영웅 바이바르스가 나타나 이들을 몰아내고 맘루크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6세기에서 20세기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 1920년, 시리아 아랍 왕국을 선언하였으나 몇 개월 뒤 마이살룬 전투의 패배후에 프랑스의 지배 하에 들어간다. 프랑스는 시리아를 위임통치령으로 삼고 지배를 공고히 하였다.
- 1944년에 프랑스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하였고, 1946년 프랑스는 시리아로 부터 군대를 철수하였다.
- 1958년 이집트와 통합하여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하였다.
- 시리아측과 이집트측의 견해차가 계속 커져 1961년 바트당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랍 연합 공화국에서 탈퇴하였다.
- 1970년 알라위파(시아파의 분파) 출신의 하피즈 알아사드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 2008년 8월 21일에 시리아와 러시아는 회담을 가졌고, 이 회담에서 시리아에 러시아 미사일 기지를 설치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면서 중동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시리아 내전
2011년 중동에서 일어난 민주화 요구 시위인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시리아에서도 민주화 요구 시위가 일어났고, 아사드를 지지하는 방송국이 피습당하는 등 내전이 진행되기 시작했다. 시리아 내에서는 학살극이 벌어졌으나 러시아는 제재에 반대하고 있다.
내전과 학살이 일어나면서 1천여명 이상의 시리아인이 터키로 집단 망명을 하는 일도 발생했다. 내전이 일어나면서 다마스커스에서 시가전이 벌어지기도 했고, 그와 함께 군부의 이탈도 시작되었다. 2012년 7월 19일에는 단 하루 동안 시리아 내에서만 31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7월 20일에는 시리아군이 수도에서 총공세를 펼쳤고, 이에 정부는 화학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위협했다.
아사드 이후에는 틀라스라는 인물이 부상하고 있다. 러시아는 EU의 시리아 제재에 반대하면서 제재조치에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내전으로 인해 시리아의 경제 또한 파탄을 맞았다. 이슬람무장단체도 유입되기 시작했다. 시리아에 거주하던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 200여명은 내전으로 시리아를 떠났다.
시리아군은 다마스커스를 완전히 장악했다고 밝혔고, 총리는 2012년 8월 요르단으로 망명했다. 내전은 시리아 내의 유적지들도 파괴했다. 아사드는 2주만에 모습을 드러냈고, 테러를 분쇄하겠다고 밝혔다.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보고된 사망자는 2013년 6월 현재 92,900여 명이며 실제 피해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쟁 난민은 2013년 4월까지 680만여명으로 알려졌다.
지리
시리아의 대부분은 메마른 평원이지만, 지중해와 맞대고 있는 일부 지역은 녹지이다. 북동부의 "알자지라", "호란" 지방이 주요 농경지대이다. 시리아의 가장 중요한 수원인 유프라테스 강은 시리아 동부를 가로지른다. 이곳은 문명의 요람으로 불리는 지역의 일부이기도 하다.
주요 도시로는 남서부의 다마스커스, 북부의 알레포와 홈스가 있다. 대부분의 큰 도시들은 지중해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상업적 가치가 있는 석유 유전은 1956년 시리아 북동부에서 발견되었다. 주요 유전지대로는 수웨이디야, 콰라취, 루매얀, 태옘, 다이르 앗 자우르가 있다. 이 유전지대는 이라크의 모술과 키르쿠크 유전지대와 이어져있기도 하다. 석유는 1974년 이래 시리아의 주요 자연자원 수출품목이다. 천연가스는 1940년 제베사에서 첫 발견되었다.
기후
시리아 중심부는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 밤낮의 온도차가 크고 지중해 연안은 여름에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겨울에는 강수량이 많은 온난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강우량은 사막지대를 제외하고는 연평균 250 mm 이하이며 서부지역의 경우 750mm에서 1,000mm이다.
정치
1973년 3월 13일 제정된 헌법에 따르면 시리아는 분권형 대통령제 즉 이원집정부제의 민주공화국이다. 임기는 7년 임기의 무제한 중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은 국민에 의하여 선출되며 2명의 부통령과 수상, 각료 등을 임명한다. 2007년 5월 27일, 바샤르 알 아사드 (Bashar al-ASAD)가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 의회는 단원제로서 정원은 250명, 임기는 4년이다. 2003년 9월 10일 무하마드 나지 알 우트리가 수상으로 임명되었다. 2007년 4월 총선에서 국민진보전선(NPF)은 172석을, 독립당은 78석을 얻었다.
법률 체계는 프랑스와 오스만 법체계가 가미되었으며 민법은 이슬람율법에 의거한다. 사법부는 대통령이 장인 대법원, 대통령에 의하여 임명되는 4년 임기의 법관으로 구성되는 헌법재판소, 폐기법정, 탄원법정, 지방법정, 이혼 보안 경제 등의 특별법정이 있다.
민족 및 언어
2022년까지 시리아 인구는 17,500,657 명이며 시리아인이 90%, 그 밖에 쿠르드인(9%), 아르메니아인, 투르크멘인 등이 있다.
아랍어는 시리아 대부분 사람들의 모어일 뿐만 아니라 공식어이다. 레반트 아랍어의 시리아 변형형은 현대 표준 아랍어와는 다르다. 유일하게 남아있는 서부 아람어인 서부 신아람어는 안티레바논산맥에 있는 세 마을 (마룰라, 알사르카 (바카흐), 주브아딘)에서 무슬림과 기독교 거주민들 모두가 아직까지 사용하고 있다. 시리아 북동쪽의 시리아계 아시리아인들은 주로 수라잇/투로요 구사자들이지만 아시리아 신아람어 화자들도 일부 있으며, 특히 하부르 유역에서 그렇다.[모호한 표현] 고전 시리아어 역시도 시리아 기독교인한테 전례 언어로 사용된다.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참고자료
레반트 같이 보기
- 레반트 국가
|
- 레반트 도시
|
- 레반트 지리
|
- 레반트 문화
|
- 레반트 주변 지역
|
 이 시리아 문서는 국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일본 행정구역, 일본 도시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태국 행정구역, 베트남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유럽 도시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국가
|
가족 • 가족국가 • 강국 • 강대국 • 강소국 • 개발도상국 • 경제대국 • 경찰국가 • 고대국가 • 공국 • 공산주의국가 • 공업국가 • 공화국 • 관광국가 • 괴뢰국 • 구성국 • 국가 • 국가연합 • 국경 • 국경선 • 국민 • 국민국가 • 국토 • 군주국 • 극소국가 • 근대국가 • 나라 • 내륙국 • 노예국가 • 농업국가 • 다민족국가 • 단일민족국가 • 대국 • 도시국가 • 독립국 • 독재국가 • 동맹국 • 마이크로네이션 • 미승인국 • 민족 • 민족국가 • 민주공화국 • 민주주의국가 • 보호국 • 봉건국가 • 부족 • 부족국가 • 분단국가 • 사회주의국가 • 산업국가 • 산유국 • 선진국 • 섬나라 • 소국 • 속령 • 술탄국 • 시민 • 시민사회 • 식민지 • 신생국 • 신흥공업국 • 신흥국 • 씨족 • 야경국가 • 약소국 • 연방국가 • 열강 • 영공 • 영세중립국 • 영토 • 영해 • 완충국 • 왕국 • 왕조 • 외국 • 위성국 • 유엔 회원국 • 입헌군주국 • 자원부국 • 자원빈국 • 자유연합 • 자치공화국 • 자치국 • 자치령 • 전쟁국가 • 전통국가 • 제국 • 제국주의 • 제조강국 • 제후 • 제후국 • 조세피난처 • 종속국(속국) • 종주국 • 주권 • 주권국 • 중립국 • 중세국가 • 중진국 • 최빈국 • 태평양 도서국(태도국) • 토후국 • 통일국가 • 통일왕국 • 패권국가 • 해외집합체 • 현대국가 • 황제국 • 후진국
|
|
국가연합
|
D10 • G2 • G5 • G7 • G8 • G11 • G12 • G20 • GUTS • 국내 • 국제 • 국제연맹 • 글로벌 • 나토(NATO) • 남미국가연합 • 네덜란드왕국 • 노르딕 • 뉴질랜드 자유연합 • 덴마크왕국 • 독립국가연합 • 동카리브 국가기구(OECS) • 발트해 3국 • 베네룩스 • 북유럽 이사회 • 브릭스(BRICS) • 비셰그라드 그룹(V4) • 세계 • 아랍연맹 • 아세안(ASEAN) • 아프리카연합 • 영연방 • 월드 • 유럽연합(EU) • 유엔(UN, 국제연합) • 지구
|
|
아시아의 국가
|
(남오세티야) • 네팔 • 대만(타이완)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버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압하지야)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지아 • 중국 • 차고스제도(영국령)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튀르키예(터키)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필리핀
|
|
유럽의 국가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저지정부 • 지브롤터(영국령)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트란스니스트리아) • 페로제도(덴마크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북아메리카의 국가
|
과들루프(프랑스령)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그린란드(덴마크령)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도미니카연방 • 마르티니크(프랑스령) • 멕시코 • 몬트세랫(영국령) • 미국 • 미국령 관타나모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영국령) •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 • 벨리즈 • 보네르(네덜란드령) • 사바(네덜란드령) • 생마르탱(프랑스령) • 생바르텔레미(프랑스령) • 생피에르 미클롱(프랑스령)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네비스 • 신트마르턴 • 신트 외스타티위스(네덜란드령) • 아루바 • 아이티 • 알래스카(미국령) • 앤티가바부다 • 앵귈라(영국령) • 엘살바도르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케이맨제도(영국령)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영국령)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미국령)
|
|
남아메리카의 국가
|
가이아나 • 기아나(프랑스령)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포클랜드제도(영국령)
|
|
아프리카의 국가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레위니옹(프랑스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마요트(프랑스령)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서사하라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수단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폴리사리오
|
|
오세아니아의 국가
|
괌(미국령) • 나우루 • 누벨칼레도니(프랑스령) • 뉴질랜드 • 니우에(뉴질랜드령) • 마셜제도 • 미국령 군소제도 • 미국령 사모아 • 미크로네시아연방 • 바누아투 • 북마리아나제도(미국령) • 사모아 • 솔로몬제도 • 오가사와라제도(일본령) • 왈리스푸투나(프랑스령) • 이스터섬(칠레령) • 코코스제도(호주령) • 쿡제도(뉴질랜드령) • 키리바시 • 토켈라우(뉴질랜드령)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피지 • 핏케언제도(영국) • 하와이주(미국령) • 호주
|
|
기타 국가
|
극동공화국 • 나흐츠반 • 남베트남 • 남예멘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대고려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제국 • 도네츠크 • 동독 • 동튀르키스탄 • 루간스크 • 리버랜드 • 만주국 • 몰타기사단 • 부건빌 • 북베트남 • 북예멘 • 서독 • 서토고랜드 • 소련 • 아르차흐 • 아자리야 • 암바조니아 • 유고슬라비아 • 이슬람국가(IS) • 잔지바르 • 젤레나 우크라이나 • 체첸 • 체코슬로바키아 • 카슈미르 • 쿠르디스탄왕국 • 튀르키스탄(투르키스탄) • 푼틀란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