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체인플릭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의 알고리즘)
(PoV 알고리즘)
22번째 줄: 22번째 줄:
 
====PoV 알고리즘====
 
====PoV 알고리즘====
 
체인플릭스의 PoV(Proof of View)는 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뷰 마이닝 기술(View Mining)을 접목하여 시청자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보는 내내 지속적으로 노드에 논스(Nonce)값을 확인하고 만약 논스 값이 일치한다면 블록이 생성되면서 코인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다수의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 의한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2P 통신 유저 단말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되면 실직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서 역할을 하여 다수의 유저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 및 승인에 참여하여 코인을 채굴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인플릭스의 PoV(Proof of View)는 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뷰 마이닝 기술(View Mining)을 접목하여 시청자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보는 내내 지속적으로 노드에 논스(Nonce)값을 확인하고 만약 논스 값이 일치한다면 블록이 생성되면서 코인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다수의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 의한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2P 통신 유저 단말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되면 실직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서 역할을 하여 다수의 유저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 및 승인에 참여하여 코인을 채굴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알고리즘 방식 : 콘텐츠 제작사는 동영상을 1분 단위(VideoCell)로 분리하여 [[P2P]]로 공유하게 된다. VideoCell을 전송할 때는 검증자에게 키값을 받아 [[암호화]]를 한다. 암호화된 VideoCell의 해시 값을 검증자들에게 전송하게 된다.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콘텐츠 제작사와 동일하게 P2P를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며 새로운 시청자도 VideoCell을 다운로드해 검증자에게 Play Data를 요청하고 VideoCell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해시 값을 계산한다. 백그라운드로 랜덤 상수와 해시 값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난이도의 Nonce값을 계산하게 되며 VideoCell 단위의 시청이 완료되면 검증자에게 Nonce값, 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개인키로 [[암호화]]를 진행한다. 동영상 플레이시간이 1.5배 보다 Nonce값 계산이 느려지면 실패로 처리한다. 검증자 A는 P2P 공유 시 생성된 해시 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시청자에게 고유한 PlayCode를 발급, 동일한 VideoCell에 대해서는 계정별로 중복해서 발행이 되지 않는다. 시청자의 지갑 아이디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하며 다른 검증자들에게도 Play Data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서 받은 Play Data에 대한 Nonce값이 유효환지 확인하며 시청자에게 랜덤 상수를 전송한 시간과 Nonce값을 받는 시간의 차이가 VideoCell의 동영상 플레이 시간보다 빠르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경우 블록생성(블록보상)이 되며 블록정보에는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생성된 블록을 다른 검증자에게도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검증자 B는 검증자 A에게서 전달 받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한다. 검증자 A에게 전달 받은 블록을 확인하고 블록에 기록된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유효환지를 확인한다. 검증자간에 성공, 실패 여부를 투표를 하여 51%이상 성공인 경우 정상 블록을 인정한다. 블록이 생성되면 보상(코인)을 지급하고 배분율에 따라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 검증자, P2P공유자에게 배분한다.
 
* 알고리즘 방식 : 콘텐츠 제작사는 동영상을 1분 단위(VideoCell)로 분리하여 [[P2P]]로 공유하게 된다. VideoCell을 전송할 때는 검증자에게 키값을 받아 [[암호화]]를 한다. 암호화된 VideoCell의 해시 값을 검증자들에게 전송하게 된다.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콘텐츠 제작사와 동일하게 P2P를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며 새로운 시청자도 VideoCell을 다운로드해 검증자에게 Play Data를 요청하고 VideoCell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해시 값을 계산한다. 백그라운드로 랜덤 상수와 해시 값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난이도의 Nonce값을 계산하게 되며 VideoCell 단위의 시청이 완료되면 검증자에게 Nonce값, 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개인키로 [[암호화]]를 진행한다. 동영상 플레이시간이 1.5배 보다 Nonce값 계산이 느려지면 실패로 처리한다. 검증자 A는 P2P 공유 시 생성된 해시 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시청자에게 고유한 PlayCode를 발급, 동일한 VideoCell에 대해서는 계정별로 중복해서 발행이 되지 않는다. 시청자의 지갑 아이디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하며 다른 검증자들에게도 Play Data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서 받은 Play Data에 대한 Nonce값이 유효환지 확인하며 시청자에게 랜덤 상수를 전송한 시간과 Nonce값을 받는 시간의 차이가 VideoCell의 동영상 플레이 시간보다 빠르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경우 블록생성(블록보상)이 되며 블록정보에는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생성된 블록을 다른 검증자에게도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검증자 B는 검증자 A에게서 전달 받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한다. 검증자 A에게 전달 받은 블록을 확인하고 블록에 기록된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유효환지를 확인한다. 검증자간에 성공, 실패 여부를 투표를 하여 51%이상 성공인 경우 정상 블록을 인정한다. 블록이 생성되면 보상(코인)을 지급하고 배분율에 따라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 검증자, P2P공유자에게 배분한다.
 
    
 
    

2019년 7월 2일 (화) 10:38 판

체인플릭스(Chainflix)는 ㈜잼픽이 개발한 사용자 중심의 차세대 피투피(P2P)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체인플릭스를 개발한 ㈜잼픽의 대표이사는 오정석이다.

개요

체인플릭스는 콘텐츠 제작자가 올려 놓은 동영상을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면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 코인을 채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이다. 콘텐츠 제작자와 사용자가 서로 수익을 나눌 수 있는 보상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활성자, 스토리지 제공자, 시청자, 운영참여자, 광고주에 이르기까지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제 사용자 위주로 플랫폼이 운영되고 블록체인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플랫폼 내 채굴된 코인 수익을 회원간 배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서 콘텐츠 제작자부터 사용자, 광고주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체인플릭스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이다.

전체 코인 발행량은 100억 개이며, 그 중 40억 개 코인은 40년간 동영상을 보며 채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 콘텐츠 제작자가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감독관이라는 기능이 추가됐고, 블록 보상을 담당하는 검식 기능이 있다. 이 외에 콘텐츠 제작자가 동영상에서 채굴될 코인을 사용자와 어느 정도로 공유하고 나눌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 콘텐츠 제작자가 콘텐츠를 전부 제작할 수 있지만 자막과 더빙 같은 제작 활동에 필요한 기능도 제공한다. 콘텐츠를 유통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소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를 소극적 사용자와 적극적 사용자로 나누었는데, 소극적 사용자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단순히 코인을 채굴하는 사용자, 광고주가 광고를 집행할 때 광고를 시청하고 코인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이다. 반면 적극적 사용자는 콘텐츠 제작 활동에 참여해서 자막이나 더빙 등을 지원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이다.[1]

등장 배경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Youtube), 유스트림(ustream), 비메오(Vimeo) 등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콘텐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시장이 동영상 플랫폼 운영사를 중심으로 성장하면서 이 업체들의 운영방식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첫째, 동영상 제작사는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 사업자에게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시장 환경에서, 50~60%의 수익을 가져가는 플랫폼 회사들의 불공정한 수익 분배에 대해 큰 불만을 품고 있다. 그리고 플랫폼 운영사의 자율적인 심의규제, 즉 채널 관리에 대한 불만도 있다. 또 광고주는 광고에 대한 불투명한 광고 집행으로 인해 광고 분석 자료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는 무료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나 짧은 동영상에서도 많은 광고를 봐야 하는 피로도가 있다. 또한, 동영상을 서비스하고 있는 플랫폼 회사들 역시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 구축으로 인터넷 회선비용, 스토리지 비용, 운영비로 인한 막대한 투자 비용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동영상 미디어 시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 중심의 P2P 동영상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체인플릭스가 탄생했다.

특징

분산 스토리지

최근까지 P2P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데이터 가용성(availa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산 저장하는 기술에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체인플릭스(Chainflix) 역시 이러한 데이터 가용성을 기존 클라우드 시스템 수준으로 보장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하면서 코인을 채굴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체인플릭스 내 모든 서비스 이용자들, 즉 콘텐츠 제작자, 시청자, 콘텐츠 제작활동에 도움을 주는 활성자, 스토리지 제공자 및 운영참여자까지도 채굴된 코인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 기술에 보다 안정적인 스트리밍 기술을 접목하여 유.무선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서비스가 운영되도록 설계했고, 이를 통해 막대한 서비스 구축 비용을 대폭 줄였다.

체인플릭스 P2P 클라우드 스토리지 방식은 클라우드 관리 콘트롤러, 스토리지 제작자 풀로 구성되어 있다.

합의 알고리즘

권위증명(PoA) 합의 알고리즘

권위증명(PoA; Proof of Authority) 합의 알고리즘은 이더리움 공동창시자 중 한 명인 개빈 우드가 만들었다. 권위증명는 보통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을 위한 증명 방식인데, 확실한 신원에 기반한 합의 방식을 통해서 즉각적인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권위증명은 권위(authoriy)를 가진 몇 노드들이 밸리데이터(validator)라고 하는 유효성 검사기가 되어 전송과 블록에 관한 유효성 검사를 시행한다. 즉, 유효성 검사를 위해 노드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권위를 가진 몇 노드들이 돌아가며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블록생성타임(block time)을 줄이고 작업증명(PoW)의 단점인 엄청난 전기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렇듯 체인플릭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노드 수를 줄여 유효성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보다 빠른 블록 생성 주기와 빠른 트랜잭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PoV 알고리즘

체인플릭스의 PoV(Proof of View)는 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뷰 마이닝 기술(View Mining)을 접목하여 시청자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보는 내내 지속적으로 노드에 논스(Nonce)값을 확인하고 만약 논스 값이 일치한다면 블록이 생성되면서 코인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한 다수의 P2P 통신 시청자 단말기에 의한 미디어 플레이어 기반 코인 채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2P 통신 유저 단말기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되면 실직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노드로서 역할을 하여 다수의 유저간의 트랜잭션에 대한 인증 및 승인에 참여하여 코인을 채굴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알고리즘 방식 : 콘텐츠 제작사는 동영상을 1분 단위(VideoCell)로 분리하여 P2P로 공유하게 된다. VideoCell을 전송할 때는 검증자에게 키값을 받아 암호화를 한다. 암호화된 VideoCell의 해시 값을 검증자들에게 전송하게 된다.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콘텐츠 제작사와 동일하게 P2P를 통해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며 새로운 시청자도 VideoCell을 다운로드해 검증자에게 Play Data를 요청하고 VideoCell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해시 값을 계산한다. 백그라운드로 랜덤 상수와 해시 값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난이도의 Nonce값을 계산하게 되며 VideoCell 단위의 시청이 완료되면 검증자에게 Nonce값, 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개인키로 암호화를 진행한다. 동영상 플레이시간이 1.5배 보다 Nonce값 계산이 느려지면 실패로 처리한다. 검증자 A는 P2P 공유 시 생성된 해시 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시청자에게 고유한 PlayCode를 발급, 동일한 VideoCell에 대해서는 계정별로 중복해서 발행이 되지 않는다. 시청자의 지갑 아이디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하며 다른 검증자들에게도 Play Data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서 받은 Play Data에 대한 Nonce값이 유효환지 확인하며 시청자에게 랜덤 상수를 전송한 시간과 Nonce값을 받는 시간의 차이가 VideoCell의 동영상 플레이 시간보다 빠르면 실패가 된다. 성공한 경우 블록생성(블록보상)이 되며 블록정보에는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생성된 블록을 다른 검증자에게도 전송하여 동기화를 한다. 검증자 B는 검증자 A에게서 전달 받은 Play Data를 별도의 DB에 저장한다. 검증자 A에게 전달 받은 블록을 확인하고 블록에 기록된 동영상 시청자의 정보가 유효환지를 확인한다. 검증자간에 성공, 실패 여부를 투표를 하여 51%이상 성공인 경우 정상 블록을 인정한다. 블록이 생성되면 보상(코인)을 지급하고 배분율에 따라 콘텐츠 제작사, 시청자, 검증자, P2P공유자에게 배분한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체인플릭스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