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타 (암호화폐)

해시넷
leejia1222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9월 21일 (금) 16:19 판 (합의 알고리즘 : PoF (포뮬레이션 증명방식))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플레타(Fleta) 로고

플레타(Fleta)는 기존 이더리움이오스의 한계를 넘어서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는 플랫폼 코인을 지향하는 암호화폐이다. 위임지분증명(DPoS)을 일부 변형한 포뮬레이션증명(PoF)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창시자는 박승호이다. 플레타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DApps)의 독립성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디앱이 기존 모델을 뛰어 넘는 서비스 및 운영 자율성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블록체인 구조를 제공한다.

특징

플레타는 각 디앱 전용 서브체인에서 작동하는 개별 레이어 체인을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독특한 블록체인 구조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플레타는 트랜잭션 속도, 새로운 형식의 합의(Proof-of-Formulation 또는 PoF) 및 관찰자 노드를 통한 다중 체인 구조, 샤딩기술을 사용하며 이 방식은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

합의 알고리즘 : PoF (포뮬레이션 증명방식)

플레타는 포뮬레이션 보상 순서를 바탕으로 채굴자를 선택하는 포뮬레이션증명(PoF, Proof-of-Formulation) 방식으로 채굴에 대해 보상을 한다. 큰 틀에서 보면 PoF는 위임지분증명(DPoS)의 일부로 분류할 수 있지만 투표가 아닌 스코어 기반이기 때문에 EOS와 비교했을 때, 훨신 더 많은 노드가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플레타에서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는 포뮬레이터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플레타는 20개의 포뮬레이터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 TPS : 플레타 플랫폼에서 가능한 초당 트랜잭션 양은 궁극적으로 네트워크의 속도와 서명 검증 속도에 달려있다. ECDSA8 코어 표준은 1.4MB/s의 합리적인 네트워크 속도로 작동하는 8개의 코어를 기반으로 한 초당 23,000개의 트랜잭션을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타는 초당 20,000의 트랜잭션 속도를 안전하게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포크 방지 : 동일한 높이를 갖는 두 개의 블록이 관찰자 노드에 들어가면, 포크는 5개의 그룹으로부터 3개의 서명을 요구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 노드가 이러한 충돌을 감지하면 포크를 생성할 수 없다. 포뮬레이터 그룹이 거짓 보고서를 작성하면 구현된 프로토콜이 금지되어 허위 블록 생성에서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 레벨트리 : 거래 검증 과정에 많이 쓰이는 머클트리(Merkle Tree) 방식이 아닌 레벨트리(Level Tree) 방식을 도입해 검증 크기를 90% 감소시켰다.
  • 라이트 노드 : 라이트 노드를 사용하면 모바일 장치를 사용할 때 레벨 2까지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반면, 레벨 3까지의 데이터는 PC를 사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레벨 3 트리 데이터가 저장되면 특정 트랜잭션을 검색하고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16개의 해시와 단일 트랜잭션만 필요하다. 이를 통해 미우 낮은 메모리 요구와 매우 빠른 속도로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다.
  • 블록 구조 : 플레타 블록 구조 측면에서 블록 헤더 및 서명은 블록 트랜잭션 수와 함께 각각 고정 바이트이다. 트랜잭션 서명 및 트랜잭션 수는 블록의 이러한 요소에 비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록을 설계함으로써 병렬 처리를 위한 기반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니처 목록에서 레벨 3 오프셋을 가져올 수 있다. 16개의 트랜잭션을 가져와서 경량 스레드로 보낸다. 이 경량 스레드는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고속 검증으로 레벨 트리를 구축하여 검증 및 레벨 경로를 동시에 병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20,000TPS의 트랜잭션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 네트워크 : 플레타의 네트워크는 모든 위치의 피어가 균일하게 처리되도록 설계되었다. 이 네트워크 배포 방식을 통해 특정 방향으로 중앙 집중화를 방지할 수 있다. 거리는 ping에 의해 결정되며, 네트워크 거리는 각 피어의 최대 거리를 보장하여 가능한 한 균일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의 거리 중심화 가능성이 줄어든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