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코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평가)
37번째 줄: 37번째 줄:
 
==평가==
 
==평가==
  
*링크코인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분분하다. 김성호 해시드 파트너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은 커뮤니티 또는 개발자 그룹에서 시작한 게 다수였다. 라인과 같은 기업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합류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이것의 성공 여부를 당장 판단하기 어렵지만 이런 생태계를 잘 이끌어나갈 방법에 회사들이 집중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정우현씨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한국 인터넷 기업들이 생태계 확장을 시도한다는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하며 이를 통해 문제점 발견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이미 확보된 많은 유저들에게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이목을 끄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생태계 확장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교수는 “토큰 경제를 라인 생태계에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모멘텀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ref name = "링크 칼럼"></ref>  
+
링크코인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분분하다. 김성호 해시드 파트너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은 커뮤니티 또는 개발자 그룹에서 시작한 게 다수였다. 라인과 같은 기업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합류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이것의 성공 여부를 당장 판단하기 어렵지만 이런 생태계를 잘 이끌어나갈 방법에 회사들이 집중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정우현씨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한국 인터넷 기업들이 생태계 확장을 시도한다는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하며 이를 통해 문제점 발견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이미 확보된 많은 유저들에게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이목을 끄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생태계 확장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교수는 “토큰 경제를 라인 생태계에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모멘텀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ref name = "링크 칼럼"></ref>  
*2018년 10월 16일, 싱가포르 라인 자회사인 라인테크플러스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에 링크를 독점 상장하였다. 모든 비트박스 사용자는 링크를 거래할 수 있으나, 일본과 미국에 거주 중인 투자자들은 규제로 인해 코인 상장에 참여할 수 없다. 라인이 일본 내 암호화폐 매매∙교환에 필요한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비트박스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소 내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라인은 일본에서는 링크토큰 대신 링크 포인트를 발행한다. <ref>이지영, 〈[http://www.bloter.net/archives/320592 라인, 범용 암호화폐 ‘링크’ 10월16일 첫 공개]〉, 《BLOTER》, 2018-09-28</ref>
+
2018년 10월 16일, 싱가포르 라인 자회사인 라인테크플러스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에 링크를 독점 상장하였다. 모든 비트박스 사용자는 링크를 거래할 수 있으나, 일본과 미국에 거주 중인 투자자들은 규제로 인해 코인 상장에 참여할 수 없다. 라인이 일본 내 암호화폐 매매∙교환에 필요한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비트박스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소 내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라인은 일본에서는 링크토큰 대신 링크 포인트를 발행한다. <ref>이지영, 〈[http://www.bloter.net/archives/320592 라인, 범용 암호화폐 ‘링크’ 10월16일 첫 공개]〉, 《BLOTER》, 2018-09-28</ref>
  
 
==로드맵==
 
==로드맵==

2018년 10월 16일 (화) 16:47 판

링크코인(Link Coin) 로고

링크코인(Link Coin) 또는 링크(Link)는 한국 네이버㈜의 자회사인 일본 라인㈜싱가포르에서 설립한 비트박스(bitbox) 거래소에서 만든 암호화폐이다. 라인코인이라고도 한다.

개념

링크코인(LinkCoin)은 한국 네이버(NAVER)의 자회사인 일본 라인(LINE)이 발행한 암호화폐로, 라인의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여러 디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링크코인은 기존 암호화폐들과는 다르게 ICO(암호화폐공개)를 진행하지 않았다. 2018년 10월 16일, 비트박스에 독점 상장하였고, 발행량은 유저보상 8억 개, 라인 테크 플러스 예비 비용 2억개로 총 10억 개 이다. 화폐 단위는 LINK이며,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1,000,000 cony = 1 LINK) 허용한다. 링크가 상장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는 2018년 7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30개(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포함) 코인이 거래 가능하다.[1]

역사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피해 당시 일본에서 이용 가능한 연락 매체는 라인 메신저 앱뿐이었으며 이는 라인이 일본의 국민 메시지 앱으로 성장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라인 앱은 출시 이후 전 세계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글로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성장했다. 라인은 모바일 메신저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며, 스마트 포털로 성장하고 있다. 라인은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플랫폼에 도입하여 디지털 세계에서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며 이곳의 경제를 토큰화하고자 링크를 만들었다. 디앱 링크는 라인의 서비스에 대한 기본 디지털 토큰이 된다. 라인은 디앱(dApp) 구현에 최적화된 토큰 이코노미 기술 플랫폼을 구축해 보상형 인터넷 플랫폼으로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라인 블록체인 사업을 통해 정보의 생산자이자 소비자인 플랫폼 라인 유저에게 적절한 보상과 블록체인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라인은 언블락, 언체인, 블록체인 랩을 구성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하고 활성화를 선도하고자 한다. [2]

  • 블록체인 랩(Blockchain Lab): 2018년 4월에 설립된 블록체인 랩은 라인의 내부 조직이다. 블록체인 관련 리서치와 디앱(dApp) 서비스 설계∙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 언블락(unblock): 2018년 4월에 설립된 언블락은 라인의 블록체인 자회사로 토큰 이코노미 설계, 블록체인 프로젝트 투자∙액셀러레이팅, 암호화폐 마켓 연구를 담당한다. 라인은 글로벌 메신저 서비스를 운영해온 기술을 기반으로 , 블록체인 기술을 내부 서비스에 접목하여 기술혁신을 가져와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것이다.
  • 언체인(unchain): 2018년 6월에 설립된 언체인은 라인과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콘(ICON)이 함께 설립한 조인트 벤처이다. 라인의 블록체인 서비스 기반인 기술 플랫폼 메인넷과 디앱(dApp) 서비스를 개발하여, 블록체인 기술 개발∙발전에 초점을 둔 조직이다.[3]

특징

  • 라인 테크 플러스(LTP)는 링크의 발행과 디앱 개발자에게 링크를 할당한다. 링크 생태계에 기여한 디앱 개발자에게 보상으로 링크를 배포한다. 디앱 개발자는 보상받은 링크를 재배포하여 생태계에 연결함으로써 링크 에코시스템을 연속∙순환 생성한다. [4]
  • 라인은 비트박스에 링크를 독점 공개하기 전, 에코시스템에 참여하는 5가지 분야(미래 예측, 지식 공유, 상품 리뷰, 식당 리뷰, 여행지 리뷰)의 신규 디앱 서비스를 공개하였다. 상품 리뷰 플랫폼 ‘파샤(Pasha)’, 식당 리뷰 플랫폼 ‘타파스(TAPAS), 여행지 리뷰 플랫폼 ’스텝(STEP)‘, 미래 예측 플랫폼 ’포캐스트(4CAST)‘, 지식 공유 플랫폼 ’위즈볼(Wizball)’을 출시 또는 출시 예정이다. [5]
  • 링크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컨소시엄 블록체인이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아무나 노드로 참여할 수 없다. 라인과 라인의 파트너사 또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디앱 개발사만 노드로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라인이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기존의 블록체인의 가치인 탈중앙화, 검열 저항성 등과는 거리가 멀다. 라인은 미래의 불확실한 규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완전 탈중앙화를 하지 않았다.[6]
  • 라인 생태계 내에서 링크를 사용하여 유형∙무형의 상품 및 다양한 혜택을 누릴수 있다. 기부자는 디앱 개발자들의 현물∙가상 제품을 링크를 사용하여 구입할 수 있다. 제공되는 서비스의 각 카테고리별로 링크를 지불하여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콘텐츠: 음악, 비디오 및 웹툰

-상점: 상품∙서비스에 대한 지불 시 할인 및 페이백 혜책

-소셜: 앱 내의 결제 시스템, 개인간 송금 거래

-게임: 게임 내 거래, 캐릭터 육성

-거래소: 수수료 지급, 할인 및 디지털 토큰 교환 [4]

평가

링크코인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분분하다. 김성호 해시드 파트너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은 커뮤니티 또는 개발자 그룹에서 시작한 게 다수였다. 라인과 같은 기업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합류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이것의 성공 여부를 당장 판단하기 어렵지만 이런 생태계를 잘 이끌어나갈 방법에 회사들이 집중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정우현씨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한국 인터넷 기업들이 생태계 확장을 시도한다는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하며 이를 통해 문제점 발견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이미 확보된 많은 유저들에게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이목을 끄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생태계 확장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교수는 “토큰 경제를 라인 생태계에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모멘텀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6] 2018년 10월 16일, 싱가포르 라인 자회사인 라인테크플러스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에 링크를 독점 상장하였다. 모든 비트박스 사용자는 링크를 거래할 수 있으나, 일본과 미국에 거주 중인 투자자들은 규제로 인해 코인 상장에 참여할 수 없다. 라인이 일본 내 암호화폐 매매∙교환에 필요한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비트박스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소 내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라인은 일본에서는 링크토큰 대신 링크 포인트를 발행한다. [7]

로드맵

  • 2018년 4월 : 언블락(Unblock) 수립
  • 2018년 6월 : 언체인(Unchain) 수립
  • 2018년 7월 : 링크 베타버전 공개
  • 2018년 8월 : 링크 체인 메인넷 공개
  • 2018년 9월 : 처음으로 링크 디앱 2개 공개
  • 2018년 10월 :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에 링크 상장
  • 2018년 12월 : 링크 체계 1.0 공개
  • 2018년 4분기 : 링크 프로토콜 공개
  • 2019년 1분기 : 링크 디앱 10개 이상 공개, 링크 체인에서 파생된 체인 채택
  • 2019년 2분기 : 링크 체인 합의 알고리즘 2.0 공개 [4]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